- 영문명
- The Method of Modeling the Writing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승(Jaeseung Lee)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3호, 181~20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글쓰기 과정의 핵심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글쓰기 과정의 모형을 구안한다. 그동안 글쓰기 과정을 모형화한 연구를 기반으로 새로운 글쓰기 과정의 모형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기존 글쓰기 과정의 모형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후에 이를 종합하여 모형화를 시도한다. 모형화의 요소들을 분석하고 각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결과: 글쓰기 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 핵심적인 것을 골라 이른바 글쓰기 과정에 대한 원형화 모형을 구안한다. 결론: 이 모형을 기반으로 쓰기 교수 학습 내용이나 방법을 도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In order to understand the writing process, we attempt to model the writing process. The purpose is to devise a new model of the writing process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modeling the writing process. Methods: After critically analyzing the studies that suggested modeling of the writing process, we synthesize them and attempt to model it. We analyze the elements of the modeling and explain each element. Results: Among the various factors involved in the writing process, we select the core ones and devise a prototype model of the so-called writing process. Conclusion: I believe that this model will help us understand the writing process and that we will be able to deriv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and methods based on it.
목차
1. 머리말
2. 글쓰기 과정 모형화에 대한 논의
3. 글쓰기 과정의 모형화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3호 목차
- AI 시대 화법 교육에서 챗GPT의 교육적 활용과 한계 - 고등학교 토론 수업 사례 연구
- 수준별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6학년 ‘기초’ 수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Q 방법론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뉴미디어 텍스트 수용 태도 분석: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탐색
- 제2언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텍스트 이독성 공식 개발 및 수준 환산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교원 관련 언론보도 양상 분석
- 동작류에 따른 한국어 ‘-고 있-’과 ‘-어 있-’ 습득 연구 : 중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생성형AI 시대의 읽기 교육에 대한 고찰 - 들뢰즈와 과타리의 ‘소수어’개념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에서 ‘목표로서의 학생 주도성’ 실현을 위한 기초 연구
- 초등학교 경계선 지능 학습자와 학습 부진 학습자의 읽기 비교 분석 - 사실적 읽기를 중심으로
- 글쓰기 과정의 모형화 방안
- 한국어 모어 화자와 고급 학습자의 부사어 어순 선호도와 인지 처리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평가를 위한 자동 채점 자질 설정 연구
- 한국어 유사 문법 ‘-자’와 ‘-자마자’의 프락시올로지 분석 연구
- 음운 변동과 문법 항목 청취 능력: K-QRT를 중심으로
- 한국어 예비 교사의 문법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