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Adverbial Word Order Preferences and Cognitive Processing in Native Speakers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육예은(Yeeun Yuk) 김영주(Youngjoo Kim)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3호, 273~30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장 안에서 부사어들이 중첩될 때 한국어 모어 화자와 고급 학습자가 가진 어순 선호도와 인지 처리 양상을 살펴보고 기본 어순 원리를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양태 부사어, 시간 부사어, 장소 부사어, 동태 부사어를 선정하고 네 가지 부사어에 대한 어순 선호도를 살폈다. 방법: 한국어 모어 화자와 고급 학습자인 TOPIK 6급 학습자 각 15명을 대상으로 수용성 판단 테스트와 자기조절읽기 테스트를 실시해 서로 다른 어순 조건에서 수용도 점수와 인지 처리 부담이 증가하는지를 측정하였다. 결과: 그 결과, 모어 화자와 학습자 모두 양태 부사어가 문두에 위치하고 동태 부사어가 서술어에 가까운 어순에서 선호도가 높았으며, 동태 부사어가 서술어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러나 조건에 따른 실시간 처리 부담은 차이가 없었다. 결론: 모어 화자와 학습자 모두 부사어 간 어순 선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검증했으며, 이는 기존의 부사어 어순에 대한 논의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여 근거를 마련했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word order preferences and cognitive processing patterns of native Korean speakers and advanced learners when multiple adverbials co-occur. It also empirically tests the principles underlying Korean adverbial order. Methods: Four adverbial types—modal, temporal, locative, and manner—were tested. Fifteen native speakers and fifteen advanced learners (TOPIK Level 6) completed two tasks: an acceptability judgment task (AJT) and a self-paced reading task (SPR). The AJT assessed preferences for adverbial orders, and the SPR measured cognitive load under marked conditions. Results: Both groups preferred sentences with modal adverbials sentence-initially and manner adverbials near the predicate. Acceptability decreased when the manner adverbial was farther from the verb. However, no significant processing differences were found across conditions in the SPR. Conclusion: The findings show that both groups have systematic preferences for adverbial order. The study offers empirical support for theoretical claims about Korean adverbial syntax and sheds light on its processing patterns.
목차
1. 서론
2. 한국어 부사어 어순에 대한 논의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새국어교육 143호 목차
- AI 시대 화법 교육에서 챗GPT의 교육적 활용과 한계 - 고등학교 토론 수업 사례 연구
- 수준별 의사소통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6학년 ‘기초’ 수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Q 방법론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뉴미디어 텍스트 수용 태도 분석: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탐색
- 제2언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텍스트 이독성 공식 개발 및 수준 환산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교원 관련 언론보도 양상 분석
- 동작류에 따른 한국어 ‘-고 있-’과 ‘-어 있-’ 습득 연구 : 중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생성형AI 시대의 읽기 교육에 대한 고찰 - 들뢰즈와 과타리의 ‘소수어’개념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에서 ‘목표로서의 학생 주도성’ 실현을 위한 기초 연구
- 초등학교 경계선 지능 학습자와 학습 부진 학습자의 읽기 비교 분석 - 사실적 읽기를 중심으로
- 글쓰기 과정의 모형화 방안
- 한국어 모어 화자와 고급 학습자의 부사어 어순 선호도와 인지 처리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평가를 위한 자동 채점 자질 설정 연구
- 한국어 유사 문법 ‘-자’와 ‘-자마자’의 프락시올로지 분석 연구
- 음운 변동과 문법 항목 청취 능력: K-QRT를 중심으로
- 한국어 예비 교사의 문법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