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사회기반 산전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임신건강관리 자기효능감, 태아애착, 우울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a Community-Based Prenatal Care Program on Pregnant Women's Self-Efficacy in Pregnancy Health Management, Fetal Attachment, and Depression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현사생(Sa Saeng Hyeon) 양희모(Hee Mo Yang)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3호, 191~20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기반 산전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임신건강관리 자기효능감, 태아애착,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충청남도 C시에 위치한 보건소를 방문한 임신 21주차부터 29주차 사이의 임부 28명이었으며, 2024년 6월 10일부터 8월 30일까지 12주간 주 1회, 회기당 2시간씩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대면으로 제공하였다. 프로그램은 임신기간동안의 식이,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프로그램 시작 전(1회기)과 종료 시점(12회기)에 사전・사후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임신건강관리 자기효능감, 태아애착, 우울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통해 확인하였다. 변수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전・후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임부의 임신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은 사전 48.80점(±5.12)에서 사후 54.24점(±7.52)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t=-4.00, p<.001), 태아애착은 79.92점(±8.64)에서 사후 88.32점(±8.88)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4.63, p<.001). 반면, 우울은 35.60점(±10.20)에서 사후 25.20점(±4.00)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4.84, p<.001).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기반 산전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정신사회적 건강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향후에는 프로그램 효과의 장기적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한 추적조사와 함께, 산후 영향까지 포함하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임부를 대상으로 반복 연구를 실시하여 결과의 일반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prenatal care program on pregnant women's self-efficacy in pregnancy health management, fetal attachment,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28 pregnant women between 21 and 29 weeks of gestation who visited a public health center in City C, Chungcheongnam-do. The 12-week program was conducted face-to-face from June 10 to August 30, 2024, with one session per week, each lasting two hours. The program included components such as nutrition, exercise, and stress management during pregnanc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intervention surveys administered at the first and twelfth sessions. The variables measured were self-efficacy in pregnancy health management, fetal attachment, and depress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was confirmed using Cronbach’s α.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and paired t-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self-efficacy in pregnancy health management significantly improved from a pre-test mean of 48.80(±5.12) to a post-test mean of 54.24 (±7.52) (t=-4.00, p<.001). Fetal attachment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79.92(±8.64) to 88.32(±8.88) (t=-4.63, p<.001). In contrast, de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35.60(±10.20) to 25.20(±4.00) (t=4.84, p <.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munity-based prenatal care programs are effective in promoting the psychosocial health of pregnant women. Future studies should include follow-up investigations to assess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program effects and consider longitudinal research that extends into the postpartum period. Furthermore, repeated studies involving pregnant women from divers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re needed to enhanc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사생(Sa Saeng Hyeon),양희모(Hee Mo Yang). (2025).지역사회기반 산전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임신건강관리 자기효능감, 태아애착, 우울에 미치는 효과. 안전문화연구, (), 191-202

MLA

현사생(Sa Saeng Hyeon),양희모(Hee Mo Yang). "지역사회기반 산전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임신건강관리 자기효능감, 태아애착, 우울에 미치는 효과." 안전문화연구, (2025): 191-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