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배달 이륜자동차 위험운전 행동 유형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Risky Driving Behaviors and Perceptions of Delivery Motorcycle Driver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전재현(Jae Hyeon Jeon) 정미경(Mi Kyeong Jeong) 최미선(Mee Sun Choi)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3호, 123~13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통안전 위협요인으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한 배달 이륜자동차 운전자에 대해 위험운전 행동 유형 및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배달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다양한 위험운전 행동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이륜자동차 교통사고 및 배달 이륜자동차 통행 다발지역을 대상으로 현장관측 및 영상촬영 조사를 하였다. 먼저 배달 이륜자동차의 주요 통행시간대를 파악하고 위험운전 행동을 상세 유형화하였으며, 위험운전 행동 유형별 발생 비중을 분석하여 주요 위험운전 행동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배달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10가지 주요 위험운전 행동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과속, 신호위반, 중앙선침범(역주행)의 중대법규위반 행동 외에도 교차로선두차량 앞지르기, 교차로통행 시 차로변경, 교차로통행 시 새로운 경로통행, 보도통행, 횡단보도 횡단통행, 차로위반(진로변경위반), 지정차로위반이 있다. 새롭게 도출한 유형은 이륜자동차의 작은 차체 특성을 악용한 변칙 주행방식으로, 교통정체 시에 이들 위험운전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또한 배달 이륜자동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여 도출된 주요 위험운전 행동별로 법규위반에 대한 인지 여부와 위험성에 대한 인식 및 평상시 위반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0가지 위험운전 행동에 대한 법규위반 인지율은 평균 91.5%로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위험운전 행동유형 중 지정차로위반과 교차로선두차량 앞지르기에 대한 인지율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이들 유형에 대한 위반 빈도도 높았다. 또한 10가지 위험운전 행동 유형에 대해 전체적으로 위험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더라도 위반하는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배달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주요 위험운전 행동 유형과 위험운전 행동에 대한 운전자 인식 수준 분석결과들은 향후 배달 이륜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교육 및 단속 분야의 안전관리대책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isky driving behavior among delivery motorcycle drivers, who have become a growing concern in terms of traffic safety hazards. To identify the various patterns of such risky driving behavior, field observations and video recordings were conducted in areas with a high incidence of motorcycle traffic accidents and dense delivery motorcycle activity. First, the study identified the primary time periods during which delivery motorcycles operate and categorized the risky driving behaviors in detail. It then analyzed the proportion of each behavior type to determine the most prevalent risky driving behaviors. The analysis revealed ten major types of risky driving behavior among delivery motorcycle drivers. In addition to serious traffic offences such as speeding, signal violations, and crossing the centerline, other behaviors include cutting to the front of waiting vehicles at intersections, changing lanes while passing through intersections, creating and using unauthorized paths through intersections, riding on sidewalks, crossing at pedestrian crosswalks, lane violations, and designated lane violations. The newly identified behavior types represent driving practices that exploit the small body size of motorcycles. These behaviors were found to occur more frequently during traffic congestion. Furthermore, a survey targeting delivery motorcycle driver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ir perception of each type of risky driving behavior—whether they recognized it as a traffic offence, regarded it as dangerous, and how often they engaged in it. The average recognition rate of these behaviors as traffic offences was 91.5%, indicating a high level of awareness. However, the recognition rates for designated lane violations and cutting to the front of waiting vehicles at intersections were relatively low, and these behaviors were also frequently committed. Although all ten types of risky driving behavior were perceived as dangerous, drivers tended to violate them even when aware of the ris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identified major types of risky driving behavior among delivery motorcycle drivers and analyzed their perceptions of these behaviors, are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safety management measures—such as targeted education and enforcement strategies—specifically tailored for delivery motorcycle driver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짓말 여부와 의사소통 방식이 진술 전략에 미치는 영향 - 비네트 설문을 활용한 한일 비교연구
- SIF 데이터를 활용한 건설업 사망사고의 공정별 사고 발생영역 분석 - 건물 건설공사를 중심으로
- VR 기반 건설안전교육콘텐츠의 평가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돌봄 효능감 향상 교육의 효과
- 노인은 왜 운전하는가? - 노년기 운전 지속 동기와 정책적 함의
-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의도 및 관련 요인
- 배달 이륜자동차 위험운전 행동 유형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건강증진행위가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시뮬레이션기반 낙상 교육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중노년층의 사회자본이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 1·2차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한 다층모형 분석
- 청년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고립 예방을 위한 서비스제공자의 사업수행 경험 연구 - 일 기관의 서비스제공자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기반 산전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임신건강관리 자기효능감, 태아애착, 우울에 미치는 효과
- 해양경찰구급대 확대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현장형 2급 응급구조사 양성 교육의 효과 분석
- 반도체 설비 유지보수작업자의 작업환경관리체계와 올바른 호흡보호구 착용의 관계에서 호흡보호구 지식수준의 매개효과
- 국방 인공지능 무기체계의 위험성 평가측정지표 개발 실증연구 - 중대급 이하의 현장 운용 요원을 중심으로
- 중년여성의 우울 중재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간호연구의 통합적 고찰
-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국내 역경 관련 학술 연구의 주제 구조와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