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년여성의 우울 중재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간호연구의 통합적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n Integrative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in Korea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이은영(Eun Young Lee)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3호, 163~17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보고된 중년여성의 우울 중재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를 파악하고 그 의미 있는 결과를 종합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우울 특성을 고찰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국내 3개의 검색데이터베이스 RISS, KISS, DBpia 의 온라인 검색을 통해 2015년부터 2025년 2월까지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검색어는 ‘중년여성’, ‘우울’, ‘프로그램’, ‘중재’, ‘간호’로 각각 조합하여 검색 후 선정된 9편의 논문이다. 중년여성 우울 간호중재프로그램으로는 웃음치료, 마음챙김 명상, REBT 영화치료 프로그램, 뇌교육 명상프로그램, 의미증진프로그램 등과 같은 심리 정서적 프로그램이 5편, 빛요법, 비타민 C 복용과 걷기운동과 같은 신체적 프로그램이 2편, 피부건강교육과 같은 이론교육이 1편, 표현적 글쓰기를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과 같은 복합적인 중재가 1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우울 간호중재프로그램들은 7편의 논문에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우울뿐만 아니라 삶의 질, 스트레스의 변수에도 영향을 주었다. 중년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과 우울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을 통합하고 분석하여 임상현장에서 간호사가 직접 중재를 직접 계획하고 실행하는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보건소, 병원, 지역사회 등 다양한 현장에서 중년여성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적용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ing research conducted in Korea on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among middle-aged women and to synthesize meaningful findings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in this population.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using three major Korean academic databases: RISS, KISS, and DBpia. The search targeted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5 and February 2025 i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The keywords used were combinations of “middle-aged women”, “depression”, “program”, “intervention”, and “nursing”. A total of nine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inclusion criteria. The identifi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five psychological-emotional interventions (e.g., laughter therapy, mindfulness meditation, REBT-based film therapy, brain education meditation, and meaning-enhancement programs), two physical interventions (e.g., light therapy, vitamin C supplementation combined with walking), one educational program (skin health education), and one integrative program (forest healing through expressive writing). Among the nine studies, seven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in depression. In addition to depression, improvements in quality of life and stress levels were also observed. This review highlights the need to strengthen nursing-led intervention research by integrating findings on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nd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It is essential to promot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ursing interventions in diverse settings including public health centers, hospitals, and community institutions to enhance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영(Eun Young Lee). (2025).중년여성의 우울 중재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간호연구의 통합적 고찰. 안전문화연구, (), 163-173

MLA

이은영(Eun Young Lee). "중년여성의 우울 중재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간호연구의 통합적 고찰." 안전문화연구, (2025): 163-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