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건강증진행위가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Industrial Workers'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Leisure Satisfaction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장경오(Koung Oh Chang)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3호, 139~15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건강증진행위가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U 광역시 소재의 4개 병원의 건강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산업장 근로자 190명을 대상으로 2024년 10월 07일부터 10월 2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s 상관관계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의 평균점수는 63.48±5.86점,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는 125.57±8.85점, 여가만족도의 평균점수는 29.99±6.23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여가만족도는 직무 스트레스(r=.194, p=.007)와 양의 상관관계, 건강증진행위(r=.452, p<.001)와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산업장 근로자의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에서 30-39세(β=.272, p=.025), 건강증진행위(β=.102, p<.00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23.1%이었다. 그러므로 산업장 근로자의 여가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음주 등의 부정적인 대처방식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보다는 가족 및 직장 동료들과 건강증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행위로써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며, 직장 내에서의 다양한 건강증진프로그램 운영으로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긍정적인 대처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유형 및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aimed at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on leisure satisfaction among industrial worke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argeting 190 industrial workers from October 7 to October 25, 202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6.0 program, employing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for job stress was 63.48±5.86 points, for health-promoting behaviors was 125.57±8.85 points, and for leisure satisfaction was 29.99±6.23 points. Leisure satisfaction among participa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r=.194, p=.007)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r=.452, p<.001). Furthermor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ctors influencing leisure satisfaction among industrial workers were age group 30-39 years(β=.272, p=.025)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β=.102,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3.1%. Therefore, to improve leisure satisfaction among industrial workers, it is essential to promote positive leisure activities that enhance health and well-being with family and colleagues, rather than reducing job stress through negative coping mechanisms such as alcohol consumption. Additionally, implementing various health promotion programs within the workplace can serve as positive strategies to improve health and quality of life.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diverse programs that reflect the different job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work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경오(Koung Oh Chang). (2025).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건강증진행위가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 139-151

MLA

장경오(Koung Oh Chang). "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건강증진행위가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2025): 139-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