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IF 데이터를 활용한 건설업 사망사고의 공정별 사고 발생영역 분석 - 건물 건설공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Accident Occurrence Areas by Process of Construction Industry Fatal Accidents by Using SIF Data : Focusing on Building Construction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오인환(In Whan Oh) 이준원(Joon Won Lee) 윤금덕(Keum Duck Yoon) 임하나(Ha Na 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3호, 17~3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IF(Serious Injury & Fatality)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발생한 건설업 사망사고 1,154건을 대상으로 사망사고 발생영역을 조사하였다. 정부의 산업재해통계가 구체적인 사고 발생영역을 인지하는 데 한계가 있기에, 통계청의 표준산업분류를 활용하여 건설업의 사고 발생영역을 건설업종별로 구분하였다. 또한, 건물 건설공사를 중심으로 각 공정에 따른 전문공사의 사고 발생 현황을 빈도분석하고, 각 공정별로 재해발생형태 및 기인물 분석을 통해 주요 사고 발생영역을 구체화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건설업 사망사고 중 43%가 건물 건설공사에서 발생하였으며, 특히 구조물 공사와 마감공사에서의 사고가 건물 건설공사 사망사고의 80.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물공사에서는 비계 및 형틀공사업, 콘크리트 및 철근공사업, 철골 및 관련 구조물 공사업이 주요 사망사고 발생영역이었으며, 비계, 철골, 개구부 등에서의 떨어짐 사고가 가장 높은 비율로 발생하였다. 마감공사에서는 지붕, 내외벽 축조 관련 전문공사업이 주요 사망사고 발생영역이었으며, 마감공사 시 지붕, 단부 등 각종 개구부에서의 떨어짐이 주요 사망사고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구조물 공사 및 마감공사 시 떨어짐 재해가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아직까지 건설현장에서 기본적인 안전조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accident occurrence areas in 1,154 fatal construction accidents that took place between 2019 and 2021, using SIF (Serious Injury & Fatality) data.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government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in identifying specific accident occurrence areas, the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was applied to specify these areas by construction sub-sector. Focusing o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accidents involving specialized trades by construction phase. In addition, accident types and causative agents were analyzed for each phase to identify major accident-prone areas. The analysis revealed that 43% of all fatal construction accidents occurred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with structural and finishing works accounting for 80.5% of those cases. In structural work, the main accident-prone sectors were scaffolding and formwork, concrete and rebar work, and steel frame and related structures, with falls from scaffolds, steel frames, and openings being the most common causes. In finishing work, fatalities were concentrated in roofing and interior/exterior wall construction, with falls from roofs, edges, and various openings identified as the primary causes of death. The fact that falling accidents account for an overwhelmingly high proportion of accidents during structural construction and finishing work proves that basic safety measures are not yet being implemented at construction sit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짓말 여부와 의사소통 방식이 진술 전략에 미치는 영향 - 비네트 설문을 활용한 한일 비교연구
- SIF 데이터를 활용한 건설업 사망사고의 공정별 사고 발생영역 분석 - 건물 건설공사를 중심으로
- VR 기반 건설안전교육콘텐츠의 평가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돌봄 효능감 향상 교육의 효과
- 노인은 왜 운전하는가? - 노년기 운전 지속 동기와 정책적 함의
-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의도 및 관련 요인
- 배달 이륜자동차 위험운전 행동 유형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건강증진행위가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시뮬레이션기반 낙상 교육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중노년층의 사회자본이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 1·2차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한 다층모형 분석
- 청년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고립 예방을 위한 서비스제공자의 사업수행 경험 연구 - 일 기관의 서비스제공자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기반 산전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임신건강관리 자기효능감, 태아애착, 우울에 미치는 효과
- 해양경찰구급대 확대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현장형 2급 응급구조사 양성 교육의 효과 분석
- 반도체 설비 유지보수작업자의 작업환경관리체계와 올바른 호흡보호구 착용의 관계에서 호흡보호구 지식수준의 매개효과
- 국방 인공지능 무기체계의 위험성 평가측정지표 개발 실증연구 - 중대급 이하의 현장 운용 요원을 중심으로
- 중년여성의 우울 중재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간호연구의 통합적 고찰
-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국내 역경 관련 학술 연구의 주제 구조와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