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노년층의 사회자본이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 1·2차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한 다층모형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social capital on satisfaction with community health services : Multilevel model analysis focused on first- and second-generation baby boomer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박미진(Mi Jin Park)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3호, 175~18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노년층인 1차 베이비부머와 2차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에 대한 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적 수준의 사회자본요인, 건강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지역수준의 사회자본이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지역사회건강자료를 활용하였고,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에 대한 다층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Mplus 8.3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1차 베이비부머(N=47440), 2차 베이비부머(N=46253)의 자료속에 보건소단위의 258개 지역의 집단자료를 포함하여 기초모형, 무조건기울기모형, 조건모형으로 구분하여 다층 로지스틱 회귀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차 베이비부머와 2차 베이비부머 집단 모두에서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학력, 배우자유무, 건강상태, 우울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인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활동이 지역사회의료서비스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지역수준에서는 지역사회 신뢰, 상호호혜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과 관련하여 베이비부머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과 실천방법이 필요함과 베이비부머를 위한 지역사회의료서비스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ed a multilevel model to study middle-aged and older adults’ satisfaction with community health services targeting first- and second-generation baby boomer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individual-level social capital factors, health factor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region-level social capital on satisfaction with community health services. To conduct the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satisfaction with community health services, 2023 Community Health Data were used with the Mplus 8.3 Program. This group data came from the first-generation baby boomers(N=47440) and the second-generation baby boomers (N=46253) in 258 regions at the public health center level. An unconditional model, unconditional random coefficient model, and conditional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results for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community health services for both the first- and second-generation baby boomers. These factors included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health status, depression. Social capital at the individual level, such as social network,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trust, and mutual reciprocity at the regional level had significant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policies and practical interventio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relation to satisfaction with community health services. It also offered policy implications for community health services provided to baby boomer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진(Mi Jin Park). (2025).중노년층의 사회자본이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 1·2차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한 다층모형 분석. 안전문화연구, (), 175-189

MLA

박미진(Mi Jin Park). "중노년층의 사회자본이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 1·2차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한 다층모형 분석." 안전문화연구, (2025): 175-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