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반도체 설비 유지보수작업자의 작업환경관리체계와 올바른 호흡보호구 착용의 관계에서 호흡보호구 지식수준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Respirator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s and Proper Respirator Use Among Semiconductor Equipment Maintenance Worker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정병철(Byeong Cheol Jeong) 이준원(Joon Won Lee) 어원석(Won Souk Eoh) 정진근(Jin Keun Ju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3호, 109~12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반도체 제조업 전공정 설비 유지보수작업자를 대상으로, 올바른 호흡보호구 착용 향상을 위한 교육・관리전략 수립 및 제도화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작업환경관리체계가 호흡보호구 지식수준을 매개로 하여 올바른 착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이 주로 보호구 착용의 개별효과나 교육결과평가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작업환경관리체계에서 지식수준을 거쳐 올바른 착용으로 이어지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차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반도체 제조업 유지보수작업자 205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에는 SPSS 30.0, PROCESS macro(Model 4), R의 lavaan 패키지를 활용하였고,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CFA),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작업환경관리체계는 호흡보호구 지식수준 및 올바른 착용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호흡보호구 지식수준은 두 변수 간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교육운영 및 관리감독체계가 잘 구축될수록 작업자의 지식수준이 높아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올바른 착용 강화로 연결되는 구조적 경로가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현장실천이 가능한 호흡보호구 착용교육・관리전략 수립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며, 산업현장에서 작업자 건강보호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호흡보호구 밀착도 검사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실제 착용결과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방향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the work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influences respirator knowledge and proper respirator use among semiconductor fabrication maintenance workers. Recognizing that proper respirator use is critical for protection, the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knowledge, and proper respirator use. A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with 205 semiconductor maintenance worker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30.0, PROCESS macro (Model 4), and the R lavaan package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correlation, and mediation analysis. The main variables were work environment management (3 items), respirator knowledge (3 items), and proper respirator use (2 items). Results showed that the work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respirator knowledge and proper respirator use. In particular, respirator knowledge 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role, especially where educational operation and supervisory systems were well recognized. This study clarifies the structural pathway from work environment management to proper respirator use,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on-site respirator management.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analyze the gap between fit-test awareness and actual practic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respirator us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짓말 여부와 의사소통 방식이 진술 전략에 미치는 영향 - 비네트 설문을 활용한 한일 비교연구
- SIF 데이터를 활용한 건설업 사망사고의 공정별 사고 발생영역 분석 - 건물 건설공사를 중심으로
- VR 기반 건설안전교육콘텐츠의 평가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돌봄 효능감 향상 교육의 효과
- 노인은 왜 운전하는가? - 노년기 운전 지속 동기와 정책적 함의
-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의도 및 관련 요인
- 배달 이륜자동차 위험운전 행동 유형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건강증진행위가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시뮬레이션기반 낙상 교육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중노년층의 사회자본이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 1·2차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한 다층모형 분석
- 청년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고립 예방을 위한 서비스제공자의 사업수행 경험 연구 - 일 기관의 서비스제공자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기반 산전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임신건강관리 자기효능감, 태아애착, 우울에 미치는 효과
- 해양경찰구급대 확대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현장형 2급 응급구조사 양성 교육의 효과 분석
- 반도체 설비 유지보수작업자의 작업환경관리체계와 올바른 호흡보호구 착용의 관계에서 호흡보호구 지식수준의 매개효과
- 국방 인공지능 무기체계의 위험성 평가측정지표 개발 실증연구 - 중대급 이하의 현장 운용 요원을 중심으로
- 중년여성의 우울 중재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간호연구의 통합적 고찰
-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국내 역경 관련 학술 연구의 주제 구조와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