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돌봄 효능감 향상 교육의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education to improve nursing students' caring efficacy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박소영(So Young Pak)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3호, 51~6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돌봄 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2개 간호대학의 간호대학생 총 101명이며 실험군 50명, 대조군 51명이다. 자료는 2023년 9월 4일부터 9월 11일, 2024년 6월 20부터 6월 30일까지 두 차례로 나누어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돌봄 효능감은 평균과 표준편차,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정,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 효능감의 차이, 돌봄 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검정은 독립표본 t-test와 χ2–test, Fisher’s exact 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의 돌봄 효능 점수(5.13±0.30)가 대조군(4.28±0.42)보다 높았다(t=7.62, p < .001). 이러한 연구결과는 추상성이 높은 Watson의 인간 돌봄 과학이론을 토대로 실무 수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돌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과목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한 점과 향후 간호현장에서 돌봄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to improve the care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1 nursing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with 5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1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twice, from September 4 to September 11, 2023 and from June 20 to June 30, 202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care efficacy, the prior homogeneity test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 in care 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test of the care efficacy improvement program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χ2-test, Fisher’s exact 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are efficac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5.13±0.30)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4.28±0.42).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developed a care ability improvement program that can be used at the practical level based on Watson's highly abstract human care science theory, applied it to the curriculum, and confirmed its effectiveness. They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ograms to improve care ability in nursing setting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영(So Young Pak). (2025).간호대학생의 돌봄 효능감 향상 교육의 효과. 안전문화연구, (), 51-61

MLA

박소영(So Young Pak). "간호대학생의 돌봄 효능감 향상 교육의 효과." 안전문화연구, (2025): 5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