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거짓말 여부와 의사소통 방식이 진술 전략에 미치는 영향 - 비네트 설문을 활용한 한일 비교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Veracity and Communication Modalities on Verbal Strategy : A Vignette Survey Comparing Korean and Japanes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진백(Jin Bag Kim) 조은경(Eun Kyung Jo)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3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맥락 문화권으로 분류되는 한국과 일본 참가자의 거짓말 여부(진실 vs. 거짓)와 의사소통방식(대면 vs. 전화통화)이 진술 전략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진술 전략 사용 의도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10가지 전략을 바탕으로 측정되었다. 모든 참가자는 가상의 상황(vignette)을 읽고, 자신이 진술을 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고 가정한 후 전략 사용 의도를 보고하였다. 한국인 140명과 일본인 100명을 대상으로 2(거짓말 여부: 진실 vs. 거짓) × 2(의사소통 방식: 대면 vs. 전화) × 2(국적: 한국 vs. 일본)의 집단 간 설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참가자는 무작위로 한 조건에 배정되었고, 연령은 공변량으로 통제되었다. 종속변인은 10개 전략사용 의도에 대한 평균 점수였다. 삼원 공분산분석 결과, 진실성 × 의사소통 방식 × 국적 간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참가자에 한정하여 단순주효과를 분석한 결과, 진실화자는 전화통화상황에서 거짓화자보다 진술 전략 사용 의도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대면상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전화통화와 같은 비언어적 표현이 제한된 매체에서는 진실화자의 전략사용 동기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일본인 참가자에게서는 독립변인의 유의미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맥락 문화 내에서도 국가마다 화자의 진술 전략 사용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미시적인 문화적 요인을 정교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cultural background(Korean vs. Japanese), veracity(truth vs. lie), and communication modality(face-to-face vs. over the phone) interact to influence individuals’ intention to use verbal strategies. A total of 240 participants(140 Koreans, 100 Japanese)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vignette conditions and instructed to rate their likelihood of using ten different verbal strategies to appear convincing. A 2(Veracity) × 2(Modality) × 2(Ethnicity) between-subjects design was used, with participants completing a web-based survey. Age was included as a covariate in a three-way ANCOVA.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mean score of intention to use verbal strategies.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Among Korean participants, a significant interaction emerged between veracity and communication modality. Specifically, truth-teller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intention to use verbal strategies over the phone than did liars, whereas no such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face-to-face condition. No such effects were observed among Japanese participa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rategic verbal behavior is shaped by both cultural and situational factors. Even within high-context cultures, such as Korea and Japan, variation in strategic communication may emerge depending on communication modality and veraci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aterials and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짓말 여부와 의사소통 방식이 진술 전략에 미치는 영향 - 비네트 설문을 활용한 한일 비교연구
- SIF 데이터를 활용한 건설업 사망사고의 공정별 사고 발생영역 분석 - 건물 건설공사를 중심으로
- VR 기반 건설안전교육콘텐츠의 평가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돌봄 효능감 향상 교육의 효과
- 노인은 왜 운전하는가? - 노년기 운전 지속 동기와 정책적 함의
-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의도 및 관련 요인
- 배달 이륜자동차 위험운전 행동 유형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건강증진행위가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시뮬레이션기반 낙상 교육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중노년층의 사회자본이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 1·2차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한 다층모형 분석
- 청년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고립 예방을 위한 서비스제공자의 사업수행 경험 연구 - 일 기관의 서비스제공자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기반 산전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임신건강관리 자기효능감, 태아애착, 우울에 미치는 효과
- 해양경찰구급대 확대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현장형 2급 응급구조사 양성 교육의 효과 분석
- 반도체 설비 유지보수작업자의 작업환경관리체계와 올바른 호흡보호구 착용의 관계에서 호흡보호구 지식수준의 매개효과
- 국방 인공지능 무기체계의 위험성 평가측정지표 개발 실증연구 - 중대급 이하의 현장 운용 요원을 중심으로
- 중년여성의 우울 중재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간호연구의 통합적 고찰
-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국내 역경 관련 학술 연구의 주제 구조와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