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복잡성 발달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Study on Lexical Complexity Development of KFL Learn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민우(MinWoo Lee) 안정민(Jeongmin Ahn)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100호, 305~33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복잡성이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외국어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 발달을 확인하는 방법 중 어휘 사용의 복잡성을 이용할 수 있다.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어휘 복잡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 어휘 복잡성은 다양성과 밀도, 정교도 등을 이용해 판단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대규모 학습자 말뭉치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에 따른 어휘 복잡성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어휘 사용의 다양도, 밀도, 정교도,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휘 다양도가 학습자 숙달도에 따른 변화 양상을 가장 잘 보여주었으며, 밀도 또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정교도는 숙달도에 따른 향상이 크지 않았으며, 정확도는 숙달도와 거의 관련이 없었다. 이 연구를 통해 외국어 학습자들의 숙달도별 어휘 복잡성 양상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어휘 복잡성 산출 지수 가운데 학습자 숙달도 단계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는 지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lexical usage patterns of foreign learners of Korean change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s. One effective way to assess second language development is by analyzing the complexity of vocabulary use,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as proficiency improves. Vocabulary richness is typically evaluated in terms of lexical diversity, density, and sophistication. Using a large-scale learner corpus, this study explores how these aspects of lexical complexity—diversity, density, sophistication, and accuracy—vary across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The findings show that lexical diversity most clearly distinguishes between proficiency levels, while density also reflects learners’ differences. In contrast, lexical sophistication does not show consistent improvement with proficiency, and accuracy exhibits little correlation with it. This study highlights observable patterns in lexical usage across proficiency levels and identifies which components of vocabulary complexity most effectively reflec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중언어학』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향후 방향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 재외동포 연구의 역사와 전망 -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교실에서의 정체성 협상에 대한 미시문화기술지 담화분석연구 - 교사와 학생의 교실 내 언어 실천을 중심으로
- 다문화시대 이중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 문법 자질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숙달도 자동 평가 연구
- 다언어주의의 한계와 극복 가능성 모색: 이주 배경 청소년에 대한 종단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 섀도잉 학습법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만족도 분석 연구 - 베트남 대학 학습자를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의 갈등 해결 방식 및 발화 양상 비교 연구
- 프랑스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삼중 대립 폐쇄음의 습득 양상에 기반한 한국어 자음 교육 제안 - 제시 순서와 음가를 중심으로
- 코로나 관련 한·영 사설의 ‘개입’ 표현 연구
-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생애주기별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 한국어 LMOOC의 현황과 과제
- 이중언어학 제100호 목차
-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의 즐거움 척도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복잡성 발달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