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교육 교실에서의 정체성 협상에 대한 미시문화기술지 담화분석연구 - 교사와 학생의 교실 내 언어 실천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Microethnography discourse analysis study on identity negotiation in KSL classrooms - Focusing on language practic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김용걸(Yong-Geol Kim)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100호, 131~15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KSL) 교실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언어 실천을 중심으로 정체성 협상을 미시문화기술지 담화분석을 통해 탐색하였으며, 특히 한국어 전용 규범 속에서 영어 사용이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언어 사용을 존재론적 실천으로 간주하여 발화, 침묵, 시선, 제스처, 언어 선택을 정체성 구성의 핵심 요소로 분석하였고, Gee의 정체성 코드, 김용걸의 확장 코드, Dörnyei의 L2 동기자아, Bloome의 담화분석 틀 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언어 코드와 정체성 코드가 일대일 대응되지 않으며, 다중 언어화자의 각 언어 자원이 언어간 정체성 협상에 영향을 미치고, KSL/KFL 구분은 실천 공동체 맥락에서 재정의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정체성 기반 담화 분석의 방법론적 가능성을 입증하고, 한국어교육 및 이중언어학 분야에서 언어 실천의 사회문화적·존재론적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언어 선택 전략 및 공동체 기반 수업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identity negotiation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classrooms by focusing on the language practices of teachers and learners through Microethnography discourse analysis, particularly analyzing the influence of English use on identity within the norms of the Korean language. Considering language use as an ontological practice, this study analyzed speech, silence, gaze, gestures, and language choice as core elements of identity construction, integrating Gee's identity codes, Kim Yong-gil's extended codes, Dörnyei's L2 motivational self, and Bloome's discourse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s revealed that language codes and identity codes do not correspond one-to-one, that each language resource of multilingual speakers influences interlingual identity negotiation, an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KSL and KFL needs to be redefined in the context of a practice community. This study demonstrated the methodological potential of identity-based discourse analysis and reexamined the sociocultural and ontological significance of language practi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bilingual studies. Additionally, it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eachers' language choice strategies and community-based lesson design in educational settings, thereb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걸(Yong-Geol Kim). (2025).한국어교육 교실에서의 정체성 협상에 대한 미시문화기술지 담화분석연구 - 교사와 학생의 교실 내 언어 실천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131-158

MLA

김용걸(Yong-Geol Kim). "한국어교육 교실에서의 정체성 협상에 대한 미시문화기술지 담화분석연구 - 교사와 학생의 교실 내 언어 실천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5): 131-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