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랑스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삼중 대립 폐쇄음의 습득 양상에 기반한 한국어 자음 교육 제안 - 제시 순서와 음가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Teaching Pronunciation of Korean consonants considering French learners’ acquisition patterns of Korean three-way stop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보람(Boram Lee)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100호, 333~36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삼중 체계 대립음의 습득 양상에 중점을 두어 프랑스어권 학습자를 위한 자음(자)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로 프랑스어권 학습자의 삼중 대립 폐쇄음의 습득 양상을 연구하였고, 둘째로 초급 한국어 교재의 한국어 자음 교육 방법을 살펴보았다.음향음성학적 종단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프랑스어권 학습자는 격음과 경음을 잘 인지한 반면에 평음을 인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나타났다. 이어서 한국과 프랑스에서 출간된 초급 한국어 교재 7종을 살펴보았는데 자음자의 음가와 자음자의 제시 순서에 수정 및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따라서 본고는 먼저 자음자의 음가를 변이음과 국제음성기호로 표기하는 것을 제안하며, 자음자의 제시 순서는 'ㅇ' → 비음과 유음 → 격음과 'ㅎ' → 경음 → 평음으로 제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pedagogical strategy for presenting Korean consonant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three-way contrast stops, tailored for French-speaking learners of Korean. It is crucial to consider learners’ prior linguistic systems, as their native language significantly influence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 study addresses two main areas: 1) the acquisition of Korean three-way stop consonants, and 2) issue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Korean consonants in widely used beginner-level Korean language textbooks.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ongitudinal perceptual acquisition of the Korean three-way stop system. Findings indicate that learners tend to acquire aspirated stops earlier and more accurately, followed by fortis consonants, whereas lenis consonants are often poorly recognized.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s the sequence and phonetic representation of Korean consonants in existing textbooks published in both Korea and France. Significant variation is observed in the order of consonant presentation and the depiction of their phonetic representations across different textbook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 revised sequence for introducing Korean consonants: 1) null initial consonant ‘ㅇ’, 2) nasals and liquids, 3) aspirated consonants, 4) fortis consonants, and 5) lenis consonan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실험 결과
5. 한국어 평음·경음·격음의 습득 양상을 고려한 자음 교육 방안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중언어학』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향후 방향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 재외동포 연구의 역사와 전망 -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교실에서의 정체성 협상에 대한 미시문화기술지 담화분석연구 - 교사와 학생의 교실 내 언어 실천을 중심으로
- 다문화시대 이중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 문법 자질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숙달도 자동 평가 연구
- 다언어주의의 한계와 극복 가능성 모색: 이주 배경 청소년에 대한 종단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 섀도잉 학습법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만족도 분석 연구 - 베트남 대학 학습자를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의 갈등 해결 방식 및 발화 양상 비교 연구
- 프랑스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삼중 대립 폐쇄음의 습득 양상에 기반한 한국어 자음 교육 제안 - 제시 순서와 음가를 중심으로
- 코로나 관련 한·영 사설의 ‘개입’ 표현 연구
-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생애주기별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 한국어 LMOOC의 현황과 과제
- 이중언어학 제100호 목차
-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의 즐거움 척도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복잡성 발달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