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외동포 연구의 역사와 전망 -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A Historical and Prospective Overview of Research on Overseas Koreans: Based on Issues 1~99 of Bilingual Research.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지형(Jihyung Kim)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100호, 55~8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이중언어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이중언어학』에 게재된 재외동포 관련 연구를 종합,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회 창립 이후 40여 년 동안 이중언어학회를 통해 이루어진 재외동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전망해 보았다.
분석은 『이중언어학』 창간호(1983년)부터 제99호(2025년)에까지 게재된 재외동포 관련 논문을 전수 조사하여 분석 대상 논문 118편을 최종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40여 년간의 연구 동향을 ‘시기별’, ‘지역별’, ‘연구 대상별’, ‘교수학’, ‘내용학’, ‘학습자 요인별’로 분석하고, 향후 재외동포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중언어학』은 초기에는 재외동포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과 민족어 계승에 집중하며 높은 비율로 관련 논문을 게재했으나, 한국어 학습자의 범위가 다양화되고 연구 주제도 확대되면서 재외동포 연구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재외동포에 대한 관심이 줄어든 것이 아니라, 연구의 분산과 학문적 외연 확장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논문은 시기별, 지역별, 연구 대상 및 주제별로 구체적인 경향을 도출하고, 특히 차세대 재외동포를 위한 교육적 접근과 언어 정체성 형성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외동포 관련 연구의 지속성과 심화를 위해 보다 세분화된 연구, 다양한 지역과 대상에 대한 균형 있는 접근, 정책 연계형 연구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긴 세월 동안 『이중언어학』이 축적한 학술적 성과를 계승하고,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 및 정책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자산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 total of 118 relevant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a full review of the journal. These artic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ix categories: chronological trends, regional focus, research subjects, pedagogy, content studies, and learner-related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Bilingual Studies initially concentrated on bilingual education and heritage language maintenance for the children of overseas Koreans, with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related publications. However, as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diversified and the range of research topics expanded, the proportion of studies specifically on overseas Koreans declined. This shift, however, reflects not a decline in interest but rather a dispersion of research efforts and an expansion of the field.
The study highlights notable trends by period, region, research subject, and theme, with special attention to language education and identity form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overseas Koreans. It concludes by emphasizing the need for more specialized research, balanced focus across regions and demographics, and an increase in policy-oriented studies. The accumulated academic achievements of Bilingual Studies are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further advance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olicy for overseas Koreans.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 검토
3. 이중언어학회와 재외동포, 그리고 『이중언어학』
4. 연구 동향 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중언어학』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향후 방향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 재외동포 연구의 역사와 전망 -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교실에서의 정체성 협상에 대한 미시문화기술지 담화분석연구 - 교사와 학생의 교실 내 언어 실천을 중심으로
- 다문화시대 이중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 문법 자질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숙달도 자동 평가 연구
- 다언어주의의 한계와 극복 가능성 모색: 이주 배경 청소년에 대한 종단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 섀도잉 학습법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만족도 분석 연구 - 베트남 대학 학습자를 중심으로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의 갈등 해결 방식 및 발화 양상 비교 연구
- 프랑스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삼중 대립 폐쇄음의 습득 양상에 기반한 한국어 자음 교육 제안 - 제시 순서와 음가를 중심으로
- 코로나 관련 한·영 사설의 ‘개입’ 표현 연구
-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생애주기별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 한국어 LMOOC의 현황과 과제
- 이중언어학 제100호 목차
-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의 즐거움 척도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복잡성 발달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