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언어주의의 한계와 극복 가능성 모색: 이주 배경 청소년에 대한 종단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수  3

영문명
Exploring the limits of multilingualism and pathways to overcome them: Based on the longitudinal study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신자란(Jaran Shin)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100호, 179~21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 사회와 학계에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지만 충분히 개념화되지 않은 다언어주의(multilingualism)를 사회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고찰한다. 먼저, 다언어주의를 정의하고, 해당 이론이 언어, 문화, 정체성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살펴본다. 다언어주의를 보다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 이주 배경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종단연구 결과와 사례를 활용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다언어주의 관점이 얽혀있는 세상을 설명하는데 왜 충분하지 않는지, 그리고 그 대안으로 등장한 다중언어주의(plurilingualism)란 무엇인지, 이 이론하에서 언어, 문화, 정체성은 어떻게 이론화되는지를 검토한다. 다중언어주의 시각으로 이주 배경 청소년의 삶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한국 사회가 다중언어주의와 다중문화주의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하는지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multilingualism, which has been frequently discussed in Korean society and academia but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ceptualized. After defining multilingualism, it explores how this framework understands the notions of language, culture, and identity. To show how multilingualism interprets social phenomena, the study draws on findings from a longitudinal research project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use of Korean, the language of a foreign parent, and English, as well as their identity (re)construction. It demonstrates why multilingualism is insufficient to explain the intertwined realities these adolescents face and introduces plurilingualism as an alternative. In addition to scrutinizing how plurilingualism perceives the concepts of language, culture, and identity, this paper illustrates how this approach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lived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is process, it discusses the directionality Korean society should take to move toward plurilingualism and pluriculturalism.

목차

1. 서론
2. 다언어주의와 언어, 문화 그리고 정체성
3. 다언어주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이주 배경 청소년의 삶과 희동의 사례
4. 다중언어주의와 언어, 문화 그리고 정체성
5. 다중언어주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이주 배경 청소년의 삶: 하양의 사례
6. 다중언어주의를 위한 방향성
7.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자란(Jaran Shin). (2025).다언어주의의 한계와 극복 가능성 모색: 이주 배경 청소년에 대한 종단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중언어학, (), 179-210

MLA

신자란(Jaran Shin). "다언어주의의 한계와 극복 가능성 모색: 이주 배경 청소년에 대한 종단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중언어학, (2025): 179-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