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판소리 교육용 디지털 매체의 현황과 활용 -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를 중심으로
이용수 88
- 영문명
- The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Digital Media for Pansori Education : Focusing on the National Gugak Center’s e-Gugak Academy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이정민(Jeong min Lee)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59집, 283~325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판소리는 다양한 음악적 요소가 반영되어 있는 종합적 현장 예술음악이다. 판소리 음악 어법은 교육적 소재로서 활용되기 충분하며 음악 교과서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듀테크를 기반으로 한 판소리 교육 방안의 사례를 들어보고, 여기에 드러나는 판소리 교육용 디지털 매체의 음악적 지향과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음악 교과서와 판소리 교육용 콘텐츠 현황을 살펴보고, 판소리 수업에 에듀테크를 적용해 보았다.
음악 교과서에서 판소리 단원은 <흥보가>에 집중된 경향이 있고, 디지털 매체는 QR코드를 제시하여 주로 감상 활동에 관한 학습 자료로 제공되고 있었다. 방대한 양의 국립국악원 판소리 교육용 콘텐츠는 ‘차시별 구성’과 ‘주제별 형태’로 나누고, ‘강의형’, ‘담화형’, ‘자료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판소리 에듀테크 수업은 3차시로 구성하고, VR,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탐색, 연주(가창), 창작 활동을 진행하였다.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판소리 교육용 매체의 음악적 한계와 보완 방안을 다섯 가지 제안하였다. 언어 유희성·서정성·교훈성·명료성이 있는 판소리 대목의 학교 교육용 콘텐츠가 별도로 개발되어야 하고, 판소리 공연의 현장감을 느낄 수있는 VR 콘텐츠와 가창 활동을 돕는 디지털 매체가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판소리 음악 어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창작용 디지털 매체와 학생들이 만든 창작물을 목소리와 음악으로 구현해 내는 프로그램과 디지털 소리북 앱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글을 통하여 우리 아이들이 판소리 음악 어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Pansori is a comprehensive live art form that includes various musical element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are sufficient to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and have been covered in music textbooks for a long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ansori edutech and suggest ways to improve digital media for pansori education. To this end, I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extbooks, pansori educational contents, and applied pansori edutech.
In music textbooks, pansori units tend to be concentrated on Heungboga, and digital media were mainly provided as learning materials for appreciation activities by presenting QR codes. The National Gugak Center's pansori educational content is divided into “lessons” and “topics” and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lectures,” “talks,” and “materials.” Pansori edutech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exploration, singing, and creative activities are conducted using VR, videos, and applications.
I propose five ways to improve educational media for pansori. Pansori lyrics should be developed separately as educational content for schools using fun, lyrical, educational, and simple content. VR content that allows people to feel the presence of the scene and media that assists singing activities must be developed. Additionally, a program that allows students to freely express their creations and a “digital SORI drum app” should be developed. I hope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 wherein students can freely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music.
목차
1. 에듀테크를 활용한 판소리 교육의 의미
2. 음악 교과서의 판소리 교육 현황
3. 판소리 교육용 디지털 매체의 특성과 현황
4. 판소리 교육을 위한 디지털 매체의 활용 전략
5. 판소리 에듀테크의 음악적 한계와 보완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화중선 일행’과 대동가극단
- ≪매일신보≫ 소재 <강상련>과 <심청전>의 관계를 통해 본 <강상련>의 전승사적 의의
- 박월정의 판소리를 통해 살펴본 판소리 창작의 범주와 경계
- 동초제 <흥보가> ‘놀보 박타령’이면 연구
- Andrei Serban의 <다른 춘향>의 연출 기법과 창극사적 의미
- 김인순 『춘향』 속 ‘오색(五色)’의 효과 및 의미
- 판소리 교육용 디지털 매체의 현황과 활용 -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를 중심으로
- 장판개 바디 <수궁가>의 서사적 특징 분석 - 정순임, 박초월 창본의 비교를 통해
- 판소리연구 제59집 목차
- '완창 판소리’의 성립 및 성장 배경과 오늘날 판소리 완창의 방향성 고찰
- 임진택 창작판소리에 대한 문학적 접근 2: 증언 판소리를 대상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