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drei Serban의 <다른 춘향>의 연출 기법과 창극사적 의미
이용수 30
- 영문명
- Directorial Technique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in Andrei Serban’s Different Chunhyang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서혜은(Hye eun Seo)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59집, 145~188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창극 <다른 춘향>의 연출 기법과 창극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출자인 루마니아인 Andrei Serban은 세계적인 오페라 연출가로 평가받고 있으며 수많은 고전 서사를 현대적으로 연출한 경력이 풍부하다. 특히 <토로이의여인들><사천의 선인><벚꽃 동산>과 같은 고전 여성 서사의 세계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서양의 고전 음악극뿐만 아니라 아시아 연극 전공자로서 동양의 여러 고전 음악극에도 조예가 깊었기에 Serban은 창극 <다른 춘향>을 연출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공연된 창극 <춘향전>과 달리 <다른 춘향>은 검사가 춘향을 폭행하는 장면, 춘향이 갇힌 독방 감옥이 무대의 상하를 이동하는 장면, 변학도에 대한 민중의 시위 장면을 반복하여 연출했다. 그러므로 <다른 춘향>은 창극사에서 춘향의 사랑과 정의에 대한 신념을 예찬하고 있으며 영상 장치를 사용하여 현장감과 선정성이 부여되고 코러스화된 여섯 명의 도창이 등장한 유일한 작품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irectorial technique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hanggeuk Different Chunhyang. Romanian director Andrei Serban is recognized as a world-renowned opera director and has focused on modernizing numerous classic narratives.
In particular, he was aware of the universality of classical female narratives, such as Women of Troy, The Sealed Letter, and The Cherry Orchard. As an expert in Western classical music drama, he was deeply knowledgeable about Eastern classical music dramas as a scholar of Asian theater. This enabled Serban to direct the Changgeuk Different Chunhyang.
Unlike the Changgeuk Chunhyangjeon that has been performed until now, Different Chunhyang repeatedly features scenes such as the prosecutor assaulting Chunhyang, the scene where Chunhyang is locked in a solitary prison cell that moves up and down the stage, and the people’s protest against Byeon Hak-do. Therefore, Different Chunhyang is the only work in the history of Changgeuk that praises Chunhyang’s love and belief in justice, using video devices to enhance the sense of presence and sensuality and featuring six choristers in a chorus-like arrangement.
목차
1. 서론
2. Andrei Serban의 <다른 춘향>의 연출 배경
3. Andrei Serban의 <다른 춘향>의 연출 기법
4. <다른 춘향>의 창극사적 의미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화중선 일행’과 대동가극단
- ≪매일신보≫ 소재 <강상련>과 <심청전>의 관계를 통해 본 <강상련>의 전승사적 의의
- 박월정의 판소리를 통해 살펴본 판소리 창작의 범주와 경계
- 동초제 <흥보가> ‘놀보 박타령’이면 연구
- Andrei Serban의 <다른 춘향>의 연출 기법과 창극사적 의미
- 김인순 『춘향』 속 ‘오색(五色)’의 효과 및 의미
- 판소리 교육용 디지털 매체의 현황과 활용 -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를 중심으로
- 장판개 바디 <수궁가>의 서사적 특징 분석 - 정순임, 박초월 창본의 비교를 통해
- 판소리연구 제59집 목차
- '완창 판소리’의 성립 및 성장 배경과 오늘날 판소리 완창의 방향성 고찰
- 임진택 창작판소리에 대한 문학적 접근 2: 증언 판소리를 대상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