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북경 지역 4년제 대학 학제적 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 분석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iculum Analysis of Interdisciplinary Korean Language Major in Beijing, China.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왕명남(MINGNAN WANG)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99호, 311~33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경 지역의 학제적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학제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3개 대학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로 한국어+비즈니스와 같은 학제적 교육과정의 구성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또 교육 목표의 명확성과 구체성의 문제, 그리고 각 내용 영역별 과목에 조정이 필요한 부분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성 강한 교육과정의 설계, 응용형, 복합형 인재 양성 목표의 명료화 및 구체화, 한국어 과정의 전문화, 연계 전공 과정의 개설 방식, 실습 교육의 대안, 융합 과목의 개발, 교육과정 전반적인 배열, 총 7가지 측면에서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국 학제적 한국어 전공 개설의 추세에 맞게 구체적인 학제적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개발 방향을 제안했다는 점이다. 앞으로도 대학 한국어 전공이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연구가 많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interdisciplin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terdisciplinary Korean major curriculum in Beijing. Accordingly, the curriculum of the three universitie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positional aspects of the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such as ‘Korean + Business’ were confirmed, and the issues of clarity and concreteness of educational goals and parts that need to be adjusted for subjects in each content area were found.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design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seven aspects, including the design of a specialized curriculum, the clarification and concreteness of the goals for training applicable and complex talents, the speci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 the method of opening a related major course, the alternative to practical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subjects, and the overall arrangement of the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specific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nd suggested a development direction in line with the trend of opening an interdisciplinary Korean major in China. In the future, many such studies will be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faced by college Korean major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학제적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말하기 채점 자질로서의 어휘 다양도 연구
- 교환학생 초급 학습자의 문화 적응 및 학습 동기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능력 비교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정상발달아동과 어휘발달지연아동의 의미 체계 비교
- 관형격 조사 ‘의’의 한·중·일 대조 연구 -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 ‘중국식 현대화’ 관련 주요 용어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한국인의 이해와 수용 연구 - 20대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KSL 학습자의 교과서 텍스트 적응을 위한 한국어 읽기 자료의 현장 요구와 AI 활용 읽기 보조 자료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고빈도 동사 표현 실패 원인 분석
- 중국 북경 지역 4년제 대학 학제적 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 분석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불안과 기대·가치·비용 양상 연구
- 예비 한국어 교원의 교수 불안감 분석 -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중국어판)』와 『조선어(류학생용)』의 문법 항목 비교
- 한국어 학습자로 구성된 학습 커뮤니티의 지속 이용 의도 분석 연구 - 레딧의 r/korean 커뮤니티 사례 연구
- 이중언어학 제99호 목차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맞춤형 ChatGPT 설계 연구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보조동사 구성 '남겨 놓-'과 '남겨 두-'의 사용 양상 분석
- 초등학교와 이주배경가정 학부모의 소통증진을 위한 가정통신문 어휘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 적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