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와 이주배경가정 학부모의 소통증진을 위한 가정통신문 어휘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 적용
이용수 4
- 영문명
- A Lexical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Newsletters for Enhancing Communication with Parents from Immigrant Backgrounds: Application of Text-Mining Technique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손효정(Hyojung Son)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99호, 239~26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초등학교와 이주배경가정 학부모 간의 소통을 증진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도구인 텍스톰을 활용하여 가정통신문의 어휘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가정통신문에 사용된 어휘의 연계성, 난이도 등의 언어적 특징을 파악하여 이주배경 학부모 교육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개의 초등학교에서 1년간 제공된 가정통신문 텍스트 367건을 수집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텍스트를 정제한 후, 명사를 기준으로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TF(단어 빈도), N-gram(공출현 빈도), CONCOR, Clustering 기법을 활용하여 어휘 간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또한, 기존 어휘등급목록과 비교하여 가정통신문 어휘의 난이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주배경 학부모의 언어적 이해를 보장하고 학교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실질적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부모가 학교 및 교육 관련 안내를 받거나 신청하는 데 사용된 어휘의 TF 및 N-gram 빈도가 가장 높았다. 특히 한자어의 비중이 92%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4-5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2)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어휘등급목록과 비교한 결과, 고급 단계 어휘 및 목록에 없는 단어의 비율이 16-22%로 확인되었다. (3) 학부모를 위한 자료 중 교육활동 이해 영역이 2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주배경 학부모와 학교 간의 효과적인 소통을 지원하고, 실질적인 어휘 개선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xic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newsletters using the text-mining tool Textom to enhance communi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s and parents from immigrant backgrounds. Specifically,the study examines linguistic features such as lexical connectivity and difficulty in newsletters and provides insights for parent education. For this purpose, 367newsletter texts distributed over one year from a single elementary school were collected. The analysis involved text preprocessing and morphological analysis with a focus on nouns. Techniques such as Term Frequency (TF), N-gram,CONCOR, and clustering were used to analyze and visualize lexical relationships. Additionally, the lexical difficulty of the newsletters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m with existing lexical level lists. Based on these findings, a practical vocabulary list was proposed to improve linguistic accessibility for immigrant parents and foster better communication with school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1) Words related to receiving and applying for school and education information had the highest TF and N-gram frequencies, with 92% of these words being Sino-Korean vocabulary. Network analysis identified the formation of 4-5clusters. (2) Comparison with existing lexical level lists revealed that 16-22% of the vocabulary comprised advanced-level words or words not included in the lists. (3) Among parent-oriented materials,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activities”category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at 2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upport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immigrant parents and schools by offering pract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vocabulary accessibility,which can be beneficial in educational contex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말하기 채점 자질로서의 어휘 다양도 연구
- 교환학생 초급 학습자의 문화 적응 및 학습 동기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능력 비교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정상발달아동과 어휘발달지연아동의 의미 체계 비교
- 관형격 조사 ‘의’의 한·중·일 대조 연구 -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 ‘중국식 현대화’ 관련 주요 용어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한국인의 이해와 수용 연구 - 20대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KSL 학습자의 교과서 텍스트 적응을 위한 한국어 읽기 자료의 현장 요구와 AI 활용 읽기 보조 자료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고빈도 동사 표현 실패 원인 분석
- 중국 북경 지역 4년제 대학 학제적 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 분석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불안과 기대·가치·비용 양상 연구
- 예비 한국어 교원의 교수 불안감 분석 -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중국어판)』와 『조선어(류학생용)』의 문법 항목 비교
- 한국어 학습자로 구성된 학습 커뮤니티의 지속 이용 의도 분석 연구 - 레딧의 r/korean 커뮤니티 사례 연구
- 이중언어학 제99호 목차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맞춤형 ChatGPT 설계 연구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보조동사 구성 '남겨 놓-'과 '남겨 두-'의 사용 양상 분석
- 초등학교와 이주배경가정 학부모의 소통증진을 위한 가정통신문 어휘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 적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