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중국어판)』와 『조선어(류학생용)』의 문법 항목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the Grammatical Items in Learning Joseoneo (Russian and Chinese Editions) and Joseoneo (for International Student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허예인(Yein Heo) 스가이 요시노리(Sugai, Yoshinori)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99호, 429~46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문법 교육의 일면을 파악하고자 북한에서 출간된『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중국어판』와 『조선어(류학생용)』의 문법 항목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배우기』 1~2권은 『조선어』 2~3권과, 3권은 『조선어』 4~5권과 유사함을 확인하였으며,수정 과정에서 문법 항목을 더욱 체계적으로 수정하고 정돈하려고 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배우기』는 해외동포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독학용 교재이며, 『조선어』는 북한 유학생을 대상으로한 교재라는 점에서 학습 대상이나 목표의 차이가 교재의 문법 항목 제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배우기』에는 구어 표현이 『조선어』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제시되어있었으며, 『조선어』는 학습 환경을 고려하여 제시한 문법 항목의 수를 줄이는 등 학습자의 이해를돕기 위한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aspects of grammar education in “Joseoneo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yexamining the grammatical items in Learning Joseoneo (Russian Edition and Chinese Edition) and Joseoneo (for International Students), both published in North Korea. The analysis indicates that Volumes 1-2 of Learning Joseoneo correspond to Volumes2-3 of Joseoneo, and Volume 3 is similar to Volumes 4-5, respectively. Revisions were made to organize and systematize the grammatical items more thoroughly, and the presentation of grammatical items reflects differences in target learners and educational purpose- Learning Joseoneo being a self-study textbook for overseas learners and Joseoneo being a textbook design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North Korea. Specifically, Learning Joseoneo included relatively more colloquial expressions compared with Joseoneo, which was also revised to enhance learner comprehens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grammatical items presented and considering the learning environment.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분석 대상 및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말하기 채점 자질로서의 어휘 다양도 연구
- 교환학생 초급 학습자의 문화 적응 및 학습 동기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능력 비교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정상발달아동과 어휘발달지연아동의 의미 체계 비교
- 관형격 조사 ‘의’의 한·중·일 대조 연구 -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 ‘중국식 현대화’ 관련 주요 용어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한국인의 이해와 수용 연구 - 20대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KSL 학습자의 교과서 텍스트 적응을 위한 한국어 읽기 자료의 현장 요구와 AI 활용 읽기 보조 자료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고빈도 동사 표현 실패 원인 분석
- 중국 북경 지역 4년제 대학 학제적 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 분석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불안과 기대·가치·비용 양상 연구
- 예비 한국어 교원의 교수 불안감 분석 -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중국어판)』와 『조선어(류학생용)』의 문법 항목 비교
- 한국어 학습자로 구성된 학습 커뮤니티의 지속 이용 의도 분석 연구 - 레딧의 r/korean 커뮤니티 사례 연구
- 이중언어학 제99호 목차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맞춤형 ChatGPT 설계 연구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보조동사 구성 '남겨 놓-'과 '남겨 두-'의 사용 양상 분석
- 초등학교와 이주배경가정 학부모의 소통증진을 위한 가정통신문 어휘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 적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