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형격 조사 ‘의’의 한·중·일 대조 연구 -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ontrastive Study of the Adnominal Case Marker ‘ui’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with a Focus on Its Function in Linguistic Systems.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린치아웨이(Chiawei Lin) 서민정(Min-jeong Seo)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99호, 127~15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관형격 조사 ‘의’의 실현 양상을 중국어’的' 및 일본어’的'의 유사한 구조와 대조하여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어 명사구 내에서 ‘의’가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의’의 사용을 선행 명사와 후행 명사 간의 통사적 및 의미적 관계에 따라 수의적, 필수적, 실현될 수 없는 경우의 세 가지 범주로 논의한다. 체계적인 예문 분석을 통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에서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구체적으로 밝히며, ‘의’의 역할을 중국어 및 일본어의 대응 표현과 함께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조사가 각 언어 체계 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의 복잡성을 명확히 밝힘으로써, 그 다양한 양상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데 기여하며, 언어 대조 연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using patterns of the Korean adnominal case marker ‘ui’ by comparing it with similar structures in Chinese and Japanese. To investigate how ‘ui’ functions within Korean noun phrases, this paper classifies the use of ‘ui’ into three categories:optional, obligatory, and unacceptable, depending on the syntactic and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ceding and following noun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examples, the study highlights bot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use of this adnominal case marker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lso, by examining the functional roles of ‘ui’ alongside its counterparts in Chinese and Japanese, there search aims to offer a thorough understanding of how these markers function within their linguistic systems. Through clarifying the complexities of marker ‘ui’, the results are anticipa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is adnominal case marker, offering insights for language learners and educators towards the certain features of these languages. In addition, the study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and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the syntactic complexities related to the marker.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한국어 관형격 조사‘의’의 분포 양상
4. 중국어 ‘的(de)’와 일본어 ‘の(no)’의 대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린치아웨이(Chiawei Lin),서민정(Min-jeong Seo). (2025).관형격 조사 ‘의’의 한·중·일 대조 연구 -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127-156

MLA

린치아웨이(Chiawei Lin),서민정(Min-jeong Seo). "관형격 조사 ‘의’의 한·중·일 대조 연구 -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5): 127-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