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보조동사 구성 '남겨 놓-'과 '남겨 두-'의 사용 양상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Usage Patterns of Namgyeo Noh- and Namgyeo Du-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신수련(Su-reun Shin)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99호, 265~28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결과 상태를 나타내는 ‘남겨 놓-’과 ‘남겨 두-’의 용례를 분석하여, 두 표현 중 하나가 선택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말뭉치에서 두 표현의 용례를 추출한 후, 언어 자질을 설계하고 어휘-문법 프레임을 적용하여 주요 설명 변인을 설정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설명 변인은 주어 유형, 목적어 유형, 착점 논항 유형, 문장 유형, 그리고 양태 표현 유형이다. 언어 변인은 ‘남겨 놓-’(0)과 ‘남겨 두-’(1)로 이분화하여 설정하였으며, 승산비 분석을 통해 각 설명 변인이 언어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주어가 1인칭일 때, 목적어가 유정 명사일 때, 착점 논항이 ‘(으)로’일 때, 문장 유형이 의문문일 때, 그리고 당위 양태 표지가 포함될 때 ‘남겨 두-’를 선택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겨 놓-’과 ‘남겨 두-’의 사용 양상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usage patterns of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Namgyeo noh- and Namgyeo du-, which indicate a resultant state,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selection. To this end, instances of both expressions were extracted from a corpus, and linguistic features were designed. Based on a lexico-grammatical framework, key explanatory variables were established, including subject type, object type, destination argument type, sentence type, and modality expression type. The linguistic variable was binarized, with Namgyeo noh- coded as 0 and Namgyeo du- as 1.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odds ratio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each explanatory variable on the linguistic variabl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Namgyeo du-significantly increases when the subject is first-person, the object is an animate noun,the destination argument is marked by (eu)ro, the sentence type is interrogative,and a deontic modality marker is present.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usage patterns of Namgyeo noh- and Namgyeo du-.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말하기 채점 자질로서의 어휘 다양도 연구
- 교환학생 초급 학습자의 문화 적응 및 학습 동기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능력 비교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정상발달아동과 어휘발달지연아동의 의미 체계 비교
- 관형격 조사 ‘의’의 한·중·일 대조 연구 -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 ‘중국식 현대화’ 관련 주요 용어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한국인의 이해와 수용 연구 - 20대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KSL 학습자의 교과서 텍스트 적응을 위한 한국어 읽기 자료의 현장 요구와 AI 활용 읽기 보조 자료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고빈도 동사 표현 실패 원인 분석
- 중국 북경 지역 4년제 대학 학제적 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 분석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불안과 기대·가치·비용 양상 연구
- 예비 한국어 교원의 교수 불안감 분석 -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중국어판)』와 『조선어(류학생용)』의 문법 항목 비교
- 한국어 학습자로 구성된 학습 커뮤니티의 지속 이용 의도 분석 연구 - 레딧의 r/korean 커뮤니티 사례 연구
- 이중언어학 제99호 목차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맞춤형 ChatGPT 설계 연구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보조동사 구성 '남겨 놓-'과 '남겨 두-'의 사용 양상 분석
- 초등학교와 이주배경가정 학부모의 소통증진을 위한 가정통신문 어휘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 적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