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말하기 채점 자질로서의 어휘 다양도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Lexical Diversity as a Scoring Feature for Korean Speaking Assessment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강혜림(Hyerim Kang) 백재파(Jaepa Baek)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99호, 35~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휘 다양도가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채점 자질로서 활용이 가능한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립국어원에서 구축한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를 데이터 세트로 재구성하였고, 전문가 집단의 채점 결과를 부착하였다. 17개 어휘 다양도 지표와 채점 결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RTTR과 CTTR 지표의 상관관계가 .623으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RTTR 지표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회귀방정식을 도출하였고, 이를 언어 다양성 채점 예측 공식으로 활용하였다. 43개의 시험 데이터 세트에 대한 예측 실험 결과 67%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언어 다양도 지표가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채점 자질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말하기 자동채점의 유용한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using lexical diversity as a scoring feature for Korean speaking assessment. For this purpose, the Korean learner spoken corpus constr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as reorganized into a dataset, and scoring results from a group of experts were appended.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17 lexical diversity indices and the scoring results revealed that the RTTR and CTTR indices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a value of .623. Subsequentl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TTR index to derive a regression equation, which was employed as a predictive formula for scoring linguistic diversity. Prediction experiments conducted on 43 test datasets showed an accuracy rate of 67%. These findings confirm the potential utility of lexical diversity indices as scoring features for Korean speaking assessment.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말하기 채점 자질로서의 어휘 다양도 연구
- 교환학생 초급 학습자의 문화 적응 및 학습 동기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능력 비교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정상발달아동과 어휘발달지연아동의 의미 체계 비교
- 관형격 조사 ‘의’의 한·중·일 대조 연구 -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 ‘중국식 현대화’ 관련 주요 용어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한국인의 이해와 수용 연구 - 20대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KSL 학습자의 교과서 텍스트 적응을 위한 한국어 읽기 자료의 현장 요구와 AI 활용 읽기 보조 자료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고빈도 동사 표현 실패 원인 분석
- 중국 북경 지역 4년제 대학 학제적 한국어 전공의 교육과정 분석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불안과 기대·가치·비용 양상 연구
- 예비 한국어 교원의 교수 불안감 분석 -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조선어배우기(러시아어판·중국어판)』와 『조선어(류학생용)』의 문법 항목 비교
- 한국어 학습자로 구성된 학습 커뮤니티의 지속 이용 의도 분석 연구 - 레딧의 r/korean 커뮤니티 사례 연구
- 이중언어학 제99호 목차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피드백을 위한 맞춤형 ChatGPT 설계 연구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보조동사 구성 '남겨 놓-'과 '남겨 두-'의 사용 양상 분석
- 초등학교와 이주배경가정 학부모의 소통증진을 위한 가정통신문 어휘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 적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