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음운의 제시 순서 연구
이용수 31
- 영문명
- A study on the order of presentation with phoneme in the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for foreig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장향실(Hyangsil Ch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3호, 221~2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시 순서란 발음 교육에서 교수-학습의 대상이되는 내용 요소들의 배열 순서를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음절로 묶여발화되는 음운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분리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각 음운의 제시 순서를 설정하기에 앞서 설정 기준을 수립하였는데, 하나는 학습의 용이성이고, 또 하나는음운의 체계성이다. 학습의 용이성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하나는 교수자의설명이 쉬워 학습이 용이한 경우이고, 또 하나는 목표어의 음운 자체가 인식하고 산출하기 쉬워 학습이 용이한 경우이다. 전자를 위해서는설명이 명확하고 간결해야 하고, 후자를 위해서는 목표 음운이 학습자에게 쉬운 음운이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들을 반영하여 음운의 제시 순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단모음의 제시 순서는 <ㅏ→ ㅓ → ㅗ → ㅜ → ㅡ → ㅣ → ㅔ/ㅐ>이고,이중모음의 제시 순서는 <ㅑ → ㅕ → ㅛ → ㅠ → ㅖ/ㅒ → ㅘ → ㅝ → ㅟ → ㅞ/ㅙ/ㅚ → ㅢ>이다. 초성 자음은 <비음 (ㅁ → ㄴ), 유음 (탄설음[.]) → 파열음 (ㅂ, ㅍ, ㅃ → ㄷ, ㅌ, ㄸ → ㄱ, ㅋ, ㄲ) → 파찰음 (ㅈ → ㅊ→ ㅉ) → 마찰음 (ㅅ, ㅆ, ㅎ)>순, 종성 자음은 <7종성의 불파음화 → 평폐쇄음화 → 자음군 단순화>의 순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the order of presentation with consonantsand vowels in the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for foreigners. Theorder of presentation means the arrangement of content elements whichare the subjects of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On this thesis, the study separately carried out researching on consonantsand vowels as the onset, as the nucleus, as the coda of syllables. And also,it studied on the basis of the facility of learning and the phonologicalsystemicity. The facility of learning could be explained to two differentaspects. First, it should be easy to understand teacher’s explanation aboutthe pronunciation for learner. Second, it is easy to understand thephoneme of target language and produce it. Because of these sides, thelearner can easily learn the target language. For the former, theexplanation is simple and articulate. And the latter, the phoneme of targetlanguage is easy to understand for the learner. This thesis deduced the order of presentation with phoneme on the basisof above criterions. As a result, the order of presentation with monothongis as follows; <ㅏ→ ㅓ → ㅗ → ㅜ → ㅡ → ㅣ → ㅔ/ㅐ>, and that withdiphthong is as follows; <ㅑ → ㅕ → ㅛ → ㅠ → ㅖ/ㅒ → ㅘ → ㅝ → ㅟ→ ㅞ/ㅙ/ㅚ → ㅢ>. The order of consonants as the onset is as follows;, and that of consonants as the coda is as follows; .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및 제시 기준 설정
3. 제시 순서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주체 높임법 습득 연구 -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 분석을 통하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음운의 제시 순서 연구
- 읽기-쓰기 통합 수업에서 학습자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 연구
-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과제
- 결혼여성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일고찰
-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대면 피드백 사례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 연구 -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개별성을 고려한 한국어교육의 실천 방향 탐색
- 며느리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 탄뎀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 사전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사용의 특성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