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 연구 -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11
- 영문명
- Study on Pragmatic Use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 with a Focus on Variation Tendenci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선영(Su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3호, 23~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관용표현이 담화 상황에서 그 표현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기 위해 텔레비전 드라마 대본에서 사용되는 관용표현을 정리하고, 담화 상황에 따라 그것이 어떤 변이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서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을 연구하고자 했다. 관용표현의 변이 양상을 어휘적 변이와 구조적 변이로 나누고 구어자료에 나타난 관용표현을 <표준국어사전>에 나와 있는 기본형과 비교하였다. 담화 상황에서 관용표현을 사용하는 이유를 분석하고, 어떤방식으로 바꾸어 표현하는지 조사했다.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본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어에서의 관용표현은 화자의 감정이나 의도를 강조하기 위해사용하고, 이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존의 관용표현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자유롭게 여러 변이와 변형을 만들어 낸다. 둘째, 구어에서 관용표현은 말의 편리성이나 경제성을 고려하여 변이형을 만들게 된다. 이는 발음이 더 편하거나 쉬운 어휘로 대치되거나긴 관용표현에서 핵심적인 요소를 발췌한 부분을 주로 사용한다. 셋째, 구어에서 관용표현은 예전에는 많이 사용했지만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어휘를 현대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어휘로 대치하거나 신조어와 결합하여 새로운 표현을 만들어 내는 데 있어 문어에서보다 자유롭다. 넷째, 구어에서 관용표현은 비슷한 의미의 다른 표현을 만들어 낼 때,보다 비속어적인 표현을 사용하고 같은 말이라도 구어적 표현으로 대치하여 사용한다.
영문 초록
In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how expressional tendencies ofidiomatic expressions change in the context of discourse, idiomaticexpressions used in TV drama scripts were sorted out and analyzed thetypes of variation tendencies observed depending on the discoursecontext. Moreover, understanding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Koreanidiomatic expressions through the analysis was also the core of thisresearch. Variation tendencies of idiomatic expressions were first dividedinto lexical and structural variations, and idiomatic expressions seen inspoken language reference were compared to the standard expressions in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Reasons as to why idiomatic expressionswere used in discourse situations were analyzed and in what ways theexpressions changed for usage was also examined.
목차
1. 서론
2. 구어자료의 분석
3. 관용표현의 변이 양상
4. 관용표현의 변형과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표현들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주체 높임법 습득 연구 -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 분석을 통하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음운의 제시 순서 연구
- 읽기-쓰기 통합 수업에서 학습자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 연구
-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과제
- 결혼여성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일고찰
-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대면 피드백 사례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 연구 -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개별성을 고려한 한국어교육의 실천 방향 탐색
- 며느리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 탄뎀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 사전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사용의 특성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