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읽기-쓰기 통합 수업에서 학습자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 연구

이용수  7

영문명
The study on realization of Intertextuality in Learners’ Writing Observed through an Integrated Reading-Writing Course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김은희(Eunhee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3호, 47~7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텍스트를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수업을 실시한 후 학습자가 쓴 글에 자신이 읽은 텍스트가 어떠한 기능으로 재구성되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학습자 텍스트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을 자료 기능(source functions)에 따라 다섯 가지로 나눈 후 각각에 해당되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다음과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학습자가 다른 텍스트에서 빌려 온 글은 새로운 텍스트의 배경이나 이야기 전개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화제에 주의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학습자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로 읽은 텍스트를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주장이 객관적이며 논리 정연함을 입증하였다. 셋째, 학습자가 읽은 텍스트는 새로운 텍스트의 결론을 도출해 내기 위한 계기로 활용되었다. 넷째, 학습자는 배경지식 강화의 기능으로 자신이 읽은 텍스트를 활용하였다. 다섯째, 학습자가 읽은 텍스트는 아이디어를 제공해 주는 기능으로도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읽은 다양한 텍스트가 배경지식의 양적인측면과 질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뿐만 아니라 주장의 근거에 신빙성을부여하거나 결론을 논리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기능 등 텍스트 자체의 논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의도로도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른 텍스트에서 빌려 온 내용이 어떤 대상에 대한 개념일지라도 글의 도입과 전개 과정 중 어디에 사용되었는지에 따라 자료의기능이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nd for whatpurposes learners of Korean writing reconstruct reading texts through anintegrated reading-writing course. Patterns of intertextuality are firstcollected from students’ writings and classified into five source functions. Then the learners’ writings are specifically analyzed and the results aresummarized as follow:First, learners attempt to draw readers’ interest and attention by quotingthe reading texts to set up the background and plot of their new writingtexts. Second, learners use the reading texts in order to support theiropinions and prove their objectivity and logic. Third, the reading texts arequoted in order to lead readers to the conclusion of their new texts. Fourth, learners reconstruct the reading texts to enforce their backgroundknowledge. Finally, the reading texts also provide the learners with newideas for their writings. This study shows that learners’ various reading texts are used not only forimprovem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the learners’ backgroundknowledge, but also for the bases of credibility of the writers’ opinionsand logic. In addition, the analysis reaches the conclusion that eventhough quotations from different texts are stated in the similar ways, theyfunction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locations in thewritings.

목차

1. 서론
2. 상호텍스트를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
3. 텍스트 생성과 상호텍스트의 기능
4. 학습자 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기능별 실현 양상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희(Eunhee Kim). (2014).읽기-쓰기 통합 수업에서 학습자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1 (3), 47-70

MLA

김은희(Eunhee Kim). "읽기-쓰기 통합 수업에서 학습자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1.3(2014): 47-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