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학 사전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사용의 특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vocabulary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수미(Sumi Lee) 윤여탁(Yeotak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3호, 199~2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학 사전 텍스트의 어휘 사용의 특성을 밝히는 데목적이 있다. 전문 용어 사전인 한국어교육학 사전의 집필자는 전문가에 해당한다. 한 학문의 전문가 집단이 사전에 사용하는 언어적 특성을 살피는 것은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특성을 살피는 것과도 관련이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학 사전의 기술 원고를 수합하여 어휘 사용의 양상을 기술하여,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담화 집단이 사용하는 언어적특성을 살피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였다. 또한 사전 집필자는 사전 사용자에 의해 전문가로서의 지위를 확보한 상태에서 해당 용어를 가술해 나간다는 점에서 전문가 집단의 언어 사용 특성을 종결형 사용을통해 살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객관적 연구방법인 한글 형태소 분석기와 별도의 말뭉치 프로그램을 만들어 이를분석하였다. 한국어교육학 사전 텍스트의 어휘 사용의 특성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학이라는 학문 분야의 전문가 집단이 사용하는 어휘 사용의 특성을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었다. 또한 빈도가 높은 명사를 통해 한국어교육학 사전의 주제 영역을 살필 수 있었으며 형용사와 동사 사용의 특성으로 사전의 미시 구조를 예측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본 연구에서사전 텍스트를 기술하는 필자가 전문가라는 점에서 전문가 집단이 기술하는 전문 용어 사전 기술에서 완곡한 표현, 당위적 표현, 선언적 표현이 나타나는 양상을 통해 사전 텍스트의 특성을 살필 수 있었다는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use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 The author ofthe encyclopedia education belongs to one of professionals. Looking intolinguistic characteristic in a dictionary by a professional group of onestudy is related to looking into academic characteristics of KoreanEducation Linguistic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linguistic characteristicsused by academic discourse group of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bycollecting the manuscript of the encyclopedia education and describingthe aspect of vocabulary use. In the point that the writer of dictionarydescribes relevant terminology in the position as a professional comparedto the user of dictionary, language use attitude of professional group wasanalyzed through the use of conclusion type. To solve such researchproblem,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and a separate program weremade for analysis. Throug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of noun whichliterary text of special field such as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hascan be estimated and the subject area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language education through noun with high frequency could be examined. Further, the fact that the use of adjective and the past form ofverb appeared in the middle of dictionary text and the present form ofverb appear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to exclude the writer'ssubjective style of writing in some degree looked as characteristic ofdictionary text.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thewriter who writes the dictionary text is a professional and thecharacteristics of dictionary text can be examined through the aspectswhich euphemistical expression, normative expression and declarativeexpression appear in the professional terminology which the professionalgroup uses.
목차
1. 들어가기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나오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주체 높임법 습득 연구 -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 분석을 통하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음운의 제시 순서 연구
- 읽기-쓰기 통합 수업에서 학습자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 연구
-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과제
- 결혼여성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일고찰
-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대면 피드백 사례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 연구 -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개별성을 고려한 한국어교육의 실천 방향 탐색
- 며느리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 탄뎀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 사전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사용의 특성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