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일고찰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struction contents of discourse marker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유나(Na Liu)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3호, 171~19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구어 담화에서 사용되는 담화표지는 문법화 과정을 거쳐 새로운 의미가 부각되어 담화 상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국어 원어민과근접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고자 하는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담화표지가 필수적인 교수 내용이다. 이 연구는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 교육 내용 구축에 주된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우선 국어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일차적인 담화표지 목록을 추출한 다음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실제성을 고려하면서 선정 기준을 세워서 최종적인 담화표지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Discourse markers haverich conversational functions along with the variation of meanings inspoken language. This phenomenon is concerned to grammaticalization. This study is about the contents construction of Korean discourse markerseducation and aims to select discourse markers that are suitable for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students to learn. First, some primarydiscourse markers that are addressed in preceding studies from the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LE) will be selected. Then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for Chinese learners, the ultimateeducational contents will be given out.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문제
2. 담화표지에 대한 이론적 배경
3. 담화표지 교육 내용의 선정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주체 높임법 습득 연구 -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 분석을 통하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음운의 제시 순서 연구
- 읽기-쓰기 통합 수업에서 학습자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 연구
-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과제
- 결혼여성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일고찰
-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대면 피드백 사례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 연구 -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개별성을 고려한 한국어교육의 실천 방향 탐색
- 며느리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 탄뎀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 사전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사용의 특성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