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개별성을 고려한 한국어교육의 실천 방향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xploration of Practic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Learn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considring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민정호(Jungho Min) 전한성(Hansung J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3호, 93~11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사회는 이미 다문화 사회로 진입해 있다. 다양한 출신의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이 한국 사회에서 법적으로 이미 한국인이 되었다. 하지만여전히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개별성을 한국어 교육을 받는 현장에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교재의 획일화와 교수·학습 방법의 획일화 등으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은 고립된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언어능력 향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선 다문화 가정 학습자들의 범주를 여성 결혼이민자와 남성 이주노동자들로 한정하고 각각의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자의 개별성을밝혀보았다. 그리고 이 개별성을 바탕으로 여성 결혼이민자와 남성 이주노동자들에게 적합한 활동 중심의 한국어 교육이 진행될 필요성이있음을 밝혀보았다. 또한 이 활동중심의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될 교재텍스트로 한국 문학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한국 문학 텍스트는 한국인특유의 언어문화적 특질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자연스러우면서도 풍부하게 담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인의 언어문화적 특질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풍부하게 담고 있는 문학텍스트를 활용하여 여성 결혼이민자와 남성 이주노동자들에게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은 여성 결혼이민자와 남성 이주노동자들의 학습자 개별성을충족시키면서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실제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여성 결혼이민자와 남성 이주노동자에게 부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방향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Korea society has already entered the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Learn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from diverse countries werealready Korean in legal. However, Korean Learners in multiculturalfamilies are not guaranteed in their individuality on Korean education. Because of uniformity of textbook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strictly standardized, Korean Learn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having difficulties in isolated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improvement of language ability. This study examined their individualityof learn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solve the problems KoreanLearn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focusing on married immigrantwomen and immigrant men workers as categories of learners in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based on the individuality, thenecessity of Korean education mainly focused on activities is verified formarried immigrant women and immigrant men workers. For theactivity-based teaching Korean literary texts would be used as materialssince Korean literary texts contain unique Korean linguistic and culturalqualities and socio-cultural context naturally. Finally, this study mentionedthe necessity of developing appropriate integral teaching and learningmethod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nd immigrant Workers utilizingthe literary texts which contain rich Korean linguistic and culturalqualities and socio-cultural context. This study will suggest effective ways of Korean education providing chances to learn socio-cultural context practicall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nd immigrant Workers.
목차
1. 논의를 위한 전제
2. 한국어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3. 상황 및 사회·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교재 구성
4. 문학 활동 중심의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주체 높임법 습득 연구 -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 분석을 통하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음운의 제시 순서 연구
- 읽기-쓰기 통합 수업에서 학습자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 연구
-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과제
- 결혼여성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일고찰
-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대면 피드백 사례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 연구 -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개별성을 고려한 한국어교육의 실천 방향 탐색
- 며느리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 탄뎀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 사전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사용의 특성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