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대면 피드백 사례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A Case Study on Face to Face Feedback in Process-oriented Korean Writing Education : Concentrated on Writing Compositions of Learners from Beginner’s St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구민지(Minji Koo) 김원경(Won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핵심 기제로서 대면 피드백을 제안하고 실제 학습자의 쓰기 작문을 통해 발전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대면 피드백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어교육과 영어교육에서의 피드백과 대면첨삭 이론 및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평가 준거 연구 등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특정 한국어 교육 기관 초급 수업에서의 쓰기 교육에서 대면 피드백을 실시한학습자 작문과 지면 피드백을 실시한 학습자 작문 결과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대면 피드백의 교육적 효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분석 결과매우 근소한 차이이기는 하지만 대면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 집단의 작문 점수가 높게 나왔다. 본격적인 실험 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수치의 단순 비교는 크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겠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 초기에 쓰기 수준이 더 낮았던 학급이 비교 학급과 유사한 쓰기 수준까지 올라왔음은 주목할 만한 일이며 사례 연구의 측면에서 연구자가 직접 학습자들의 쓰기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하는 모습을 목격할 수 있었던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또한 장기적으로 쓰기 교육을 실시한다면 유의미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face to face feedback as the main mechanism of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and to apply it on the actual learner’s writing process,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 of operating the face to face feedback on Korean writing education. Accordingly, the face to face feedback was given to 9 learners from beginner’s stage in writing composition. The criteria for the feedback were concentrated mainly on the content, structure, context and language usage in writing. When the collective group of people whom were given face to face feedback and the other set of group with written correction were compared, the result showed slight difference in overall scores, which the face to face feedback group displayed higher scores. Even so,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and not a experimental research. Thus, it can be said that simply comparing the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led group does not necessarily provide significant meanings. Howev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face to face feedback is expected to bring positive effect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when applied to learner groups carrying out Korean writingcapabil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대면 피드백 사례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주체 높임법 습득 연구 -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 분석을 통하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음운의 제시 순서 연구
- 읽기-쓰기 통합 수업에서 학습자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 연구
-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과제
- 결혼여성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일고찰
-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대면 피드백 사례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 연구 -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개별성을 고려한 한국어교육의 실천 방향 탐색
- 며느리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 탄뎀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 사전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사용의 특성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