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과제
이용수 3
- 영문명
- On the Present State and Development Pla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zerbaija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남은영(Eunyoung Na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1권 제3호, 71~9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앞으로 이곳의 한국어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있다. 이에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크게 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으로 나누어설명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아제르바이잔의 다른 나라에 비해서 한류의 확산 속도나 그 수준이 미미하며 이곳의 한국어 교육은 현재 총 네 군데의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나 한국어센터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세 곳의 사설 한국어 학원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자발적으로 한류 문화를 즐기는 모임이 생겨났으며 이들 중에는 독학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자들도 있다. 이처럼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학습자들은 큰 폭은 아니지만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 첫째로,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아직 한류 열풍이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전략적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을 키우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둘째로, 현지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자료가 매우 부족하다. 현지의 특성을 살려 이들을 위한 적합한 교육 자료를 만들어야 한다. 셋째로, 제대로 된 자질을 갖춘 한국어 교원이 필요하다. 한국어 석. 박사 과정 및 현지인 한국어 교원 양성을 위해서라도 교원의 전문성이반드시 요구된다. 넷째로, 현지에서 채용된 한국어 교원의 처우 개선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 열악한 교원 처우와 불안정한 고용이 지속된다면 질 좋은 한국어수업은 보장할 수 없다.
영문 초록
This studyexamines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n Azerbaijan to develop thefuture of Korean education in Azerbaijan. The Korean education systemcan be divided into academic degree and non-academic degree courses inAzerbaijan. Issues and challenges on the course come up with this study. This year is the 20th anniversary of Azerbaijan Korean education. However,the Korean Wave does not spread faster than any other countriesand does not have high level of achievement. Korean companies inAzerbaijan make good impression of Korea that Azerbaijani have afeeling of familiarity with Korean. There are four universities operate Korean classes such as in Koreanlanguage departments and Korean language centers. There are also threeprivate schools teach Korean. Some other people study Korean bythemselves and several private meetings increase gradually. There are some reasons why they have less interest in Korean Languagethan other countries. Firstly, the Korean Wave has not come yet inAzerbaijan that people are less concerned about it. We need to think howAzerbaijani get more interested in Korea. Secondly, there are not enoughacademic materials and textbooks for Azerbaijani. Less study causes lackof qualified educational materials and textbook. Thirdly, there are notenough qualified teachers. Most of the teachers are good at Azerbaijanilanguage but poor at Korean education system. There is also not enoughstudy of Korean language.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ingmore depth study is needed. Fourthly, Korean language lectures need to be given better than treatment. Moreover the study should be progressed with locality that helps to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zerbaijan.
목차
1. 서론
2. 아제르바이잔의 한국어 교육 현황
3.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과제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주체 높임법 습득 연구 -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 분석을 통하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음운의 제시 순서 연구
- 읽기-쓰기 통합 수업에서 학습자 글쓰기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의 실현 양상 연구
-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과제
- 결혼여성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교육 내용 구성에 대한 일고찰
-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대면 피드백 사례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 관용표현의 화용적 특징 연구 -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 다문화 가정 학습자의 개별성을 고려한 한국어교육의 실천 방향 탐색
- 며느리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 탄뎀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 사전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사용의 특성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재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