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ultilayer of Revenge and the Justification of Private Revenge: Focusing on the Film Nightingal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곡숙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8호, 431~4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영화 <나이팅게일>을 중심으로 주인공의 축, 욕망의 축, 의사소통의 축을 분석하여 복수의 동기, 명분, 의미를 다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주인공의 축은 여주인공, 적대자, 조력자 사이의 갈등과 대립을 통해 차별적 사회구조라는 복수의 동기이자 근원을 보여준다. 여주인공, 적대자, 조력자 사이의 관계는 계층, 젠더, 민족의 갈등을 통해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대립을 보여주며, 명령하는 신체와 복종하는 신체의 갈등을 통해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대립을 보여주며, 경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의 갈등을 통해 주인과 노예의 대립을 보여준다. 둘째, 욕망의 축은 가해자의 악행ㆍ원한ㆍ부도덕성, 피해자의 고통ㆍ가책ㆍ도덕성, 공적 사회의 악행ㆍ방관ㆍ부도덕성을 통해서, 공적 처벌의 좌절과 사적 복수의 정당성을 보여준다. 가해자는 여성, 흑인, 어린이에 대한 폭행, 강간, 살인으로 육체적 악행을 저지르며, 자신의 악행에 대한 책임을 피해자에게 전가함으로써 정신적 악행을 저지른다. 피해자는 가해자의 악행과 원한으로 인해서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겪으며, 가해자의 악행과 자신의 복수로 인한 죽음 때문에 죄책감으로 악몽, 환각에 시달린다. 백인남성이 지배하는 공적 사회도 여성, 흑인에 대한 폭행, 강간, 살인 등의 악행을 저지르며, 적대자의 악행에 대해 방관한다. 셋째, 의사소통의 축은 자기 각성, 주체성 회복, 소통적 권력을 통해 피해자의내적, 사적, 공적 변화를 보여주며, 연대, 저항, 해방을 통해 복수의 내적, 사적, 공적 의미를 보여준다. 피해자는 비밀과 갈등에서 소통과 협력으로 나아가며 생태적 인간으로서의 연대를 보여주며, 수동적 객체에서 능동적 주체로 나아가며소수자로서의 저항을 보여주며, 죽음의 길에서 해방의 길로 나아가며 복수자로서의 해방을 보여준다. 영화 <나이팅게일>에서 여주인공/적대자/조력자 사이의 대립, 가해자의 악행과 피해자의 고통, 피해자의 연대ㆍ저항ㆍ해방은 차별적 사회구조, 부도덕성/도덕성의 대비, 사적 복수와 공적 처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otives, causes, and meanings of revenge in a multilayered manner by analyzing axis of the main character, axis of desire, and axis of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movie Nightingale(2018). First, the main character’s axis shows the motivation and source of revenge of discriminatory social structure through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heroine, antagonist, and helper. The relationship between heroine, antagonist and helper shows the confrontation between imperialism and colonialism through the conflicts of class, gender and rac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governing class and the controlling class through conflicts of a commanding body and a submissive body,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master and slave through conflicts of economic human and ecological human. Second, the axis of desire shows the frustration of public punishment and the legitimacy of personal revenge, through perpetrator’s the vice/grudge/immorality, victim’s pain/remorse/morality, and public society’s misdeeds/bystanders/moralities. The perpetrator commits physical misdeeds by assaulting, raping and killing women, blacks and children, and mentally misdeeds by shifting responsibility for his misdeeds. The victim suffers mental and physical pain from the perpetrator’s evil deeds and grudge, and suffers from nightmares and hallucinations with guilt due to death from the perpetrator’s evil deeds and her revenge. The public society, dominated by white men, also commits evil acts such as assault, rape and murder against women and blacks, and sits on the sidelines of antagonists’ evil deeds. Third, the axis of communication shows the internal, private, and public changes of victims through self-awakening, self-reliance, and communication power, and the internal, private, and public meanings of revenge through solidarity, resistance, and liberation. The victims show solidarity as an ecological human being, moving from secrecy and conflict to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ey show resistance as a minority, moving from passive objects to active subjects. They show liberation as avengers, moving from the path of death to the path of liberation. In the movie Nightingale, confrontation between heroine/hostile/assistance, perpetrator’s misdeeds and victim’s suffering, victim’s solidarity/resistance/liberation shows discriminatory social structure, the contrast between immorality/morality, and private revenge and public punishment.
목차
1. 복수영화의 대중성과 복수의 다층성
2. 복수의 동기: 여주인공/적대자의 대립과 차별적 사회구조
3. 복수의 명분: 가해자의 악행, 피해자의 고통, 공적 처벌의 좌절
4. 복수의 의미: 생태적 인간의 연대, 소수자의 저항, 복수자의 해방
5. 사적 복수의 정당성과 복수의 시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드 헤인즈의 <캐롤(Carol)>의 영화적 공간
- 비평적 창작으로서의 각색
- 코로나19와 영화제의 미래
- 복수의 다층성과 사적 복수의 정당성
-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적 공간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 영화에 재현된 도시 공간 (1998-2018)
- <세브린느>
-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이 유럽 영화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의의
- 한국 시네마스코프 전환 시기의 영화 <여사장>의 스타일 분석
- 슬로우 시네마의 에코-슬로우 미학과 그 비의식적 경험
- 비대면 영화교육에 대한 전망
- 아날로그 미디어 노스탤지어와 디지털 영화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게토영화와 갱스터
- 언택트 시대, 영화제의 변화상과 새로운 가능성
- 앙드레 바쟁의 영상 존재론과 허우샤오시엔 영화의 롱 테이크 유사성
- 혼돈의 사회와 도시의 리듬
- 영화연구 제88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