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날로그 미디어 노스탤지어와 디지털 영화

이용수  9

영문명
Analog Media Nostalgia and Digital Cinema: Focused on Remediation in Enola Homes(2020)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이주봉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88호, 271~30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최근 사회문화적 현상이자 미디어 현상으로 부각되는 아날로그 노스탤지어 경향에 주목하면서, 이를 디지털 영화적 특성을 탐색하는 단초로 삼고 있다. 미디어 현상으로서 아날로그 노스탤지어 현상은 디지털 전환(Digital Turn) 시기영화의 재매개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논의점을 던져주는데, 이는 복수의 재현매체이미지들이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재매개 현상이 디지털 시대 영화의 매체적 변화를 도드라지게 해주기 때문이다. 본고는 특히 셀룰로이드 필름 시대의 형식 스타일을 재매개하는 디지털 영화의 이미지가, 그 이미지를 스펙터클화하면서도, 여전히 투명한 환영주의적 영화 현실을 구성하도록 해준다는 사실에 주목하고있다. 또한, 이러한 투명한 영화적 현실은, 이를 향유하는 관객들의 정동적 태도들(the affective attributes)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디지털 영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서 본고는 영화<에놀라 홈즈>(2020)를 예시적으로 분석한다. 이 영화는 아날로그 재현매체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재매개하여 그 영화적 현실을 구성하면서, 이미지의 스펙터클현상 및 투명한 환영주의적 영화 현실 구성이라는 모순적으로 보이는 영화적 태도를 드러내는 영화이다. 본고는 일면 모순적으로 보이는 이러한 영화적 태도가, 컨버전스 미디어로서 자리매김하는 디지털 영화의 성격을 드러내는 적절한 예시라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an analog nostalgia that has been arisen since 1980s in the last century gets strengthened. This phenomenon is social cultural and mediatic too, because “media produce contents and narratives not only in the nostalgic style but also as triggers of nostalgia.”(K. Niemeyer, p.7) With analog nostalgia as a media phenomenon,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remediation in the digital cinema, furthermore to show how especially the remediation with the multiple-representation strategy related to analog nostalgia emphasizes the cinematic specificity in the digital era.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tradictory cinematic tendency in the digital cinema that makes the image in the cinema a kind of spectacle as well as constitutes transparency cinematic reality. Related to the affective attributes of the cinema recipient, the spectacle image can constitute the immediate transparency cinematic reality. That’s because “the crude immediate spectacle images paradoxically create ‘the sense of presence’ to the audience”.(Lee, 2020, p.122) In order to discuss this topic, I am going to analyse Enola Holmes(2020) that had released on September 2020 and received positive reviews in the public. This film shows the contradictory cinematic tendency between spectacle-image and cinematic reality in the immediate transparency. The cinematic style of Enola Holmes is unique due to the remediation, i.e. multiple-representation strategy with analog media, namely a mixed composition with black and white images, animations, letters and illustrations etc. With analyzing remediation in Enola Holmes, I would like to explain the digital cinematic specificity, focused on the affective attributes of the audience in relation to the digital cinema as a convergence media.

목차

1. 서론
2. 아날로그 미디어 노스탤지어와 다매체 재현방식 영화
3. 노스탤지어와 컨버전스 미디어로서의 영화: <에놀라 홈즈>
4. 아날로그 미디어 노스탤지어와 정동적(affective) 영화체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봉. (2021).아날로그 미디어 노스탤지어와 디지털 영화. 영화연구, (), 271-303

MLA

이주봉. "아날로그 미디어 노스탤지어와 디지털 영화." 영화연구, (2021): 271-3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