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와 영화제의 미래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Covid-19 on Film Festivals: An Examination of the Issues of Online Screening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박문칠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88호, 171~20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0년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위기를 맞아 영화 소비의 방식이 달라졌다. 극장은 직격탄을 맞았고 OTT 서비스들은 급성장했다. 영화를 소개하는 창구인 영화제들도 변화를 요구 받았다. 온라인으로의 전환을 꾀한 경우도 있었고, 전통적인 오프라인 영화제를 고수한 경우도 있었다. 영화제들이 어떤 행사를 포기하고 어떤 행사를 살릴 것인지 선택과 집중을 하는 과정은 필연적으로 개별 영화제의 정체성과 더 나아가 영화제의 본래적 의미와 역할에 대한 재성찰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이 상이한 세 개의 영화제 사례를 중심으로 코로나라는 위기가 영화제의 진행방식, 정체성, 자기 역할 규정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특히 온라인으로의 전환을 택한 경우 온라인의 가능성과 한계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코로나 이후 영화제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지 예측해보고자 했다. 조사 결과 이러한 온라인 상영의 경험이 코로나 종식 이후에 영화제의 개최 형태를 근본적으로 바꿀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추후 온라인이 영화제의 관객층과 외연을 넓히는 혁신적인 보완재로 기능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영화제 경험과 상호작용은 그 성격이 현저히 다르며, 온라인 관람으로 관객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관객의 온⋅오프라인 동선과 콘텐츠 소비패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처럼 코로나 이후 영화제들은 과거로 단순히 회귀하는 길을 택하는 대신 온라인을 적극적으로 결합해나가며 다양한 실험을 지속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영문 초록

In the era of COVID-19 pandemic, the way in which film is consumed has drastically changed. Theater revenues have plummeted while OTT services have been on the rise. Film festivals have also been forced to change its ways. Some festivals have embraced the online model while others have stuck to the traditional model of watching films in the cinemas. Facing many constraints, film festivals had to rethink their identity and their fundamental role within the industry.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e pandemic had on the identity of film festivals in South Korea. To this end, it draws upon interviews conducted with programmers of three distinctive film festivals in South Korea. The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how festivals evaluat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online festival model, in attempt to predict the future of film festivals after the pandemic.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online and offline spaces are vastly distinct from each other. When the collective, irrational, and carnivalesque nature of the offline festival is lost, and the overall experience of enjoying a cultural event is non-existent, the participants tended to favor conventional films over experimental content, or chose not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altogether. In order to attract people to the online festival, taking into account their on/offline lifestyles and behaviors was paramount. After the pandemic, it seems that festivals will lean towards the offline festival model with cinemas at their core. Film festivals’ role of fostering networks among filmmakers and the collective experience of watching films together in the cinemas are considered to be irreplaceable in the digital sphere.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film festivals will simply rollback to the existing model. Film festivals are eager to apply the knowledge and knowhow they have acquired in 2020 to special community screenings or events held prior or after the main festival. They want to continue experimenting with the online model in attempt to expand its reach among the public.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코로나 시기 영화제 개최를 둘러싼 조건들
4. 코로나가 영화제에 던진 질문들: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대한 평가 및 전망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문칠. (2021).코로나19와 영화제의 미래. 영화연구, (), 171-206

MLA

박문칠. "코로나19와 영화제의 미래." 영화연구, (2021): 171-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