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yle Analysis of A Female Boss, a Film in the Korean Cinemascope Transition Era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홍진혁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8호, 245~27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새로운 영화기술은 영화의 연출 스타일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본 연구는 한국영화사에서 와이드 스크린을 도입한 초기의 대표적인 영화 <여사장>(한형모, 1959)의 스타일을 분석한다. <여사장>은 1950년대 제작된 한국 시네마스코프 영화 중에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영화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당시 한국영화의 관습에 능숙한 감독의 영화가 와이드 스크린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대중영화의형식 요소로 어떻게 안착시킬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의 의미는 한국영화를 연구하는 일에 수반되는 영화적 실천의 사례를 서구의 영화가아닌 한국영화 그 자신의 역사 안에서 정립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여사장>에서 인물과 카메라의 움직임은 시선을 프레임 좌우 극단으로 오가도록 배치되어 와이드 스크린의 프레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구도는 와이드 스크린이라는 요소를 내러티브 전개 과정에 깊이 관여하도록 만든다. 또한 <여사장> 은 시네마스코프의 평면성과 얕은 심도를 보완하기 위해 후경의 미장센을 이용해 깊이 구도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규범으로 인해 반응쇼트는 쇼트의 연결이 아닌 단일한 쇼트 내에 존재한다. 이는 어떤 혁신이라기보다는 기존 스탠더드 프레임의 관습과 새롭게 도입된 시네마스코프 사이의 절충이라 할 수 있다. <여사장> 의 구도가 당시의 한국영화와 달리 낯설게 보이는 것은 한형모의 경력에서 비롯되는 일본영화의 영향뿐만 아니라 이러한 시네마스코프의 기술적인 조건 때문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How does new film technology change the style of film? This study analyzes the style of the film A Female Boss(Yeosajang) (Han Hyung-mo, 1959) produced at a time when wide screens were introduced to the Korean film industry. A Female Boss is the only Korean cinemascope film from the 1950s that rema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director’s film, which was proficient in the customs of Korean films at the time, was able to settle the new technology of wide screen as a formal element of popular movies. The meaning of this analysis is to establish examples of cinematic practices that accompany the study of Korean films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not Hollywood or Europe cinema. In A Female Boss, the movement of characters and cameras is arranged to move their eyes to the extrem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emphasizing the frame of the wide-screen. This construction causes the element wide screen to become deeply involved in the process of narratives deployment. In addition, A Female Boss creates a depth composition using mise-en-scène in a rear-view to complement the flatness and shallow depth of cinemascope. Due to these norms, the short reaction exists within a single short rather than a connection of the short. Rather than any innovation, this is a trade-off between the convention of existing standard frames and the newly introduced cinemascope. Unlike Korean films at the time, the composition of A Female Boss seems strange not onl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Japanese films from Han Hyung-mo’s career, but also because of these technical conditions of cinemascope.
목차
1. 서론
2. 시네마스코프를 강조하는 트래킹과 스테이징
3. 평면성과 깊이 구도
4. 내적 규범의 고도화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드 헤인즈의 <캐롤(Carol)>의 영화적 공간
- 비평적 창작으로서의 각색
- 코로나19와 영화제의 미래
- 복수의 다층성과 사적 복수의 정당성
-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적 공간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 영화에 재현된 도시 공간 (1998-2018)
- <세브린느>
-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이 유럽 영화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의의
- 한국 시네마스코프 전환 시기의 영화 <여사장>의 스타일 분석
- 슬로우 시네마의 에코-슬로우 미학과 그 비의식적 경험
- 비대면 영화교육에 대한 전망
- 아날로그 미디어 노스탤지어와 디지털 영화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게토영화와 갱스터
- 언택트 시대, 영화제의 변화상과 새로운 가능성
- 앙드레 바쟁의 영상 존재론과 허우샤오시엔 영화의 롱 테이크 유사성
- 혼돈의 사회와 도시의 리듬
- 영화연구 제88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