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daptation as a Critical Creation: Greta Gerwig’s Little Women(2019) for a ‘Perfect Happy Ending’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최은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8호, 363~39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몇 년 사이 여성 작가들이 쓴 여성들의 이야기가 스크린에 자주 등장했다. 그 중 그레타 거윅의 <작은 아씨들>(2019)은 작품성이나 대중성 양면에서 단연 돋보이는 작품이다. 본 연구는 이 작품을 여성으로서 여성 주인공(조)에 매료되어 20세기를 보냈던 21세기의 감독이 19세기 여성 작가가 지녔던 열망과 한계를 간파하고, 새롭게 해석한 주인공을 매개로 자신과 원작자의 꿈을 동시에 이루어내는 집요한 탐구와 모색의 결과물로 읽는다. 거윅의 <작은 아씨들>은 여성 작가가 여성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여성의 행복과 자유를 옹호하는 관점으로 만든작품이라는 점에서,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여성의” 영화다. 이 작품에서 우리는 ‘작가’라는 타이틀을 지닌 세 명의 여성을 만나게 된다. <작은 아씨들>의 주인공 네 자매들 중 둘째이면서 작가가 된 조 마치와 원작의작가인 루이자 메이 올콧,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색자이면서 영화의 감독인 그레타 거윅이다. 그레타 거윅은 영화 <작은 아씨들>에서 작가가 된 조 뿐 아니라 각기 다른 예술적 재능을 지닌 네 자매들의 꿈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아무도 배제되지 않는 결말의 ‘완벽한’ 해피엔딩을 통해 이들의 꿈이 고루 성취된다고 보았다. 그런 의미에서 조의 결혼은 흔히 이해되는 것처럼 작가의 ‘타협’이 아니라 꿈을 향한 적극적인 선택이고, 백인 남학생들의 학교였던 원작의 한계를 벗어나, ‘모두를 위한’ 학교가 된 플럼필드 아카데미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올콧의 가장충실한 독자이면서 창작자가 된 각색자 거윅은 그리하여 ‘글을 팔고 흥정하는’ 작가 조와 어려운 시절을 글을 쓰며 견뎌야 했던 19세기의 작가 올콧 모두에게‘구원’이 되었다. 본 연구는 앤디 매드허스트와 존 코이, 제임스 네어모어 등에 의한 현대영화의작가론에 바탕을 두고, 각색을 비평적 창작으로 보았던 린다 허천의 각색이론과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 각색영화의 감독인 그레타 거윅을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작가로 보고 거윅의 영화 <작은 아씨들>을 다양한 결을 지닌 텍스트로서 분석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stories of women written by female writers have frequently appeared on screens. Among them, Greta Gerwig’s Little Women(2019) is a work that stands out in both the artistic and popular aspects. This work is a text created by a 21st century female director who spent the 20th century fascinated by the female protagonist (Joe). She discovered the aspirations and limitations of a 19th century female writer who created Joe, so that she realizes the dreams of herself and the original author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newly interpreted Joe. Gerwig’s Little Women i s a film “ B y women, For women, and Women’s.” This is because it is a work created by a female artist with an interest in women’s life and advocating for women’s happiness and freedom. In this work, we meet three women with the title of ‘writer’. They are Joe March, the second of the four main characters of Little Women, and Louisa May Alcott, the original author, and Greta Gerwig, the adaptor and director of the film. Greta Gerwig focuses on the dreams of four sisters, each with different artistic talents, as well as Joe, who became a writer in the film Little Women. This study saw that their dreams are evenly fulfilled through a “perfect” happy ending in which no one is excluded in the end. In that sense, Joe’s marriage is not the artist’s “compromise,” as is commonly understood, but an active choice toward a dream. And, beyond the limits of the original work, which used to be a school for white boys, Plumfield Academy, which has become a “for all” school, is a symbolic space. Thus, the adaptor Gerwig, who had been Alcott’s most loyal reader and now creator, is a “salvation” to both the “selling and bargaining” writer Joe and the 19th century writer Alcott, who had to endure difficult times while writing. This study sees Greta Gerwig, the director of adaptation film, as a writer found in the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aptation theory and intertextuality of Linda Heochun. And it also uses the concept of contemporary authorship by Andy Madhurst and John Caughi. In addition, this analyzes Gerwig’s film Little Women as a text with various textures.
목차
1. 들어가며: 여성 서사 영화와 <작은 아씨들>(2019)
2. 텍스트의 틈새에 출몰하는 작가-각색자
3. ‘작가-조 마치’와 페미니즘 비평의 문제제기
4. ‘작가-그레타 거윅’의 논평과 각색
5. ‘작가-루이자 메이 올콧’과 19세기 여성 생활인 ‘루이자’
6. 맺는 말: 완벽한 해피엔딩이라는 ‘구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드 헤인즈의 <캐롤(Carol)>의 영화적 공간
- 비평적 창작으로서의 각색
- 코로나19와 영화제의 미래
- 복수의 다층성과 사적 복수의 정당성
-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적 공간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 영화에 재현된 도시 공간 (1998-2018)
- <세브린느>
-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이 유럽 영화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의의
- 한국 시네마스코프 전환 시기의 영화 <여사장>의 스타일 분석
- 슬로우 시네마의 에코-슬로우 미학과 그 비의식적 경험
- 비대면 영화교육에 대한 전망
- 아날로그 미디어 노스탤지어와 디지털 영화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게토영화와 갱스터
- 언택트 시대, 영화제의 변화상과 새로운 가능성
- 앙드레 바쟁의 영상 존재론과 허우샤오시엔 영화의 롱 테이크 유사성
- 혼돈의 사회와 도시의 리듬
- 영화연구 제88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