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혼돈의 사회와 도시의 리듬

이용수  10

영문명
The Society of Chaos and Urban Rhythm: An Experimental Form in Korean Independent Films in the 1970∼1980s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이도훈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88호, 33~6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970∼80년대 제작된 일부 한국 독립영화에서 도시 교향곡의 장르적 특징이 나타났음에 주목한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작품은 <아침과 저녁사이>(1970), <서울 7000>(1976), <국풍>(1981)이다. 도시 교향곡은 하루 동안에 일어나는 도시의 삶을 시적인 이미지의 몽타주로 표현한 작품을 가리킨다. 이 장르는 한편으로는 실험적인 영화 만들기에 관한 것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 대도시의 삶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에 관한 것으로 이해된다. 도시 교향곡의 프레임으로 1970∼80년대 한국 독립영화를 살펴본다는 것은, 이 시기 한국 독립영화의 미학적 가능성과 정치적 비전을 함께 고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침과 저녁사이>는 도시를 배회하는 한 청년의 모습을 따라가면서,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소외된 인간의 형상을 비개연적인 서사와 초현실적인 이미지를 통해서 표현한다. <서울 7000>은 스톱 모션 기법으로 자동차, 버스, 열차, 군중의 움직임을 역동적으로 그려낸다. <국풍>은 관제적인 행사로 기획된 국풍81의 이면을 드러내고 그것을 비판하기 위해 이질적인 이미지와 사운드의 배치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각기 다른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이 세 작품의 관계를 통해서 한국 독립영화가도시 교향곡을 장르적으로 시도하고, 정립하고, 발전시켰다는 사실과 마주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notes that some Korean independent films produced in the 1970s and 1980s showed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city symphonies. The works selected for analysis are From Morning To Evening(1970), Seoul 7000 (1976), and Gukpung (1981). City symphonies refer to the work of sketching a poetic image of the city’s life that takes place during the day. This genre is understood to be about making experimental films, and critical reflections on the lives of modern big cities. Looking at Korean independent films from the 1970s and 1980s as a frame of city symphonies means looking at the aesthetic possibilities and political visions of Korean independent films during this period. From Morning To Evening follows a young man wandering around the city, expressing the figure of a human being alienated in the process of rapid urbanization through an improbable narrative and surreal image. Seoul 7000 is a stop motion technique that dynamically depicts the movement of cars, buses, trains, and crowds. Gukpung effectively utilizes the differential image and sound layout to reveal the background of Gukpung81, which was planned as a controlling event, and to criticize it. Interestingly, if you look at these three works in different styles in time series, you can face the fact that Korean independent films have tried, established, and developed city symphonies in genre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도시 교향곡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3. 장르적 실험과 불안의 반복 : <아침과 저녁사이>
4. 장르적 확장과 도시의 변화 : <서울 7000>, <국풍>
5.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도훈. (2021).혼돈의 사회와 도시의 리듬. 영화연구, (), 33-66

MLA

이도훈. "혼돈의 사회와 도시의 리듬." 영화연구, (2021): 33-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