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scussion with Related to Similarity between Image Ontology of Andre Bazin and Long Take Film of Hou Hsiao-Hsien: Based on Representative Works of Hou within Different Time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빈 양종훈 이상은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8호, 107~1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화에 사용되는 롱 테이크(long take)의 표현 의미를 탐구하고, 또한 허우샤오시엔의 영화를 사례로 하여 앙드레 바쟁(André Bazin)의 영화 현실주의 이론의 영상 존재론을 기초로 허우샤오시엔 영화에서 롱 테이크와 앙드레 바쟁의 영상 존재론 사이의 유사성을 분석한다. 허우샤오시엔 영화에서 롱 테이크를 분석할 때 우선 연구 소재를 감독의 창작 시기에 따라 ‘성장’, ‘타이완’과 ‘세기말의 화려함’등 3시기로 나누고, 또한 영상 존재론에 따른 재현 세계의 완전성, 시공간의 진실성, 영상과 객관 현실에서 촬영 대상의 동일성 등 세 가지 측면을분석 프레임으로 하여 각각 비교 분석하며, 이를 통해 양자의 유사성을 고찰한다. 연구 결과 허우샤오시엔의 각 시기별 대표 작품은 모두 바쟁의 영상 존재론과 일정한 유사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허우샤오시엔 롱 테이크는 현실을 중점적으로 재현하는 것이며, 그는 롱 테이크를 통해 영화의 기조를 설정하고관객이 영화 시청과정에서 스토리에 대한 공감 발생을 유도한다. 아울러 관객은할리우드식 몽타주 프레임에서 벗어나 롱 테이크가 발생시키는 깊은 의미를 새롭게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영화 창작자의 롱 테이크 사용에 대한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영화 화면 이론 체계에 기여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expression meaning of long take in the film, we select Hou’s film as an example, The similarity between long take in Hou’s film and Andre Bazin’s image ontology is analyzed based on the image ontology in realism theory of Andre Bazin’s film.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long take of Hou’s film, based on the creative period, the research material has been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phases such as : ‘growth’, ‘Taiwan’ and ‘gorgeous at the end of the century’. The comparative analysis will be done and we are looking for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through various analysis carrier based on the image ontology to reproduce the integrity of the world, the authenticity of time and space and the consistence between film and objective reality . The results show that the representative works of Hou in different periods are similar to Bazan’s image ontology. It can also be seen from the study that the focus of the long take is to reproduce reality. Hou sets the tone of the film through the long take to guide the audience to resonate with the story while watching the film. At the same time, let the audience get rid of Hollywood montage framework, to help the audience re-understand the profound significance of long take.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spiration for film creators to use long take and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oretical discussion on film shot.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드 헤인즈의 <캐롤(Carol)>의 영화적 공간
- 비평적 창작으로서의 각색
- 코로나19와 영화제의 미래
- 복수의 다층성과 사적 복수의 정당성
-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적 공간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 영화에 재현된 도시 공간 (1998-2018)
- <세브린느>
-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이 유럽 영화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의의
- 한국 시네마스코프 전환 시기의 영화 <여사장>의 스타일 분석
- 슬로우 시네마의 에코-슬로우 미학과 그 비의식적 경험
- 비대면 영화교육에 대한 전망
- 아날로그 미디어 노스탤지어와 디지털 영화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외
- 게토영화와 갱스터
- 언택트 시대, 영화제의 변화상과 새로운 가능성
- 앙드레 바쟁의 영상 존재론과 허우샤오시엔 영화의 롱 테이크 유사성
- 혼돈의 사회와 도시의 리듬
- 영화연구 제88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