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부적응 학생의 부적응 실태 및 지원에 관한 교사의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cognition of Teachers to Condition and Support of Maladjustment on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임혜경 김혜리 박재국 落合俊朗 김주홍 정지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4호, 361~37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학생의 부적응 실태 및 그들의 지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서 학교부적응 학생의 적응을 도모하기 위한 효율적인 지원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나아가서 적응의 장 마련과 교육 시스템 구축에 있어 필요한 실질적인 제도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대안학교, 특수학급 그리고 청소년 상담센터 및 치료실과 같은 사설기관에서 학교부적응 학생을 지도하고 있는 담당교사 6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교부적응 학생의 문제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있어서는 전체교사가 가정환경에 있어 가장 문제를 가진다고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학습, 사회성, 비행, 행동에 있어 문제를 나타내는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교부적응 학생의 부적응 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를 담당학생유형에 따라 살펴보면, 학대학생의 부적응 행동을교사는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비행학생, LD/ADHD학생의 순이었다. 셋째, 학교부적응 학생의 지도상에 있어서 교사의 곤란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를 담당학생유형에 따라 살펴보면, 교사는 비행학생을 지도할 때 가장 곤란도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LD/ADHD학생, 학대학생의 순이었다. 넷째, 학교부적응 학생의 지원을 위한 교사의 요구도는 근무지 유형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성별, 근무경력, 근무지유형에 따른 교사의 전체 요구도를 검토해보면 여자가 남자보다, 근무경력이 오래될수록 요구도가 높았다. 그리고 특수학급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의 지원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대안학교, 사설기관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goal in searching for the way of the efficient support for the adaptation of the students who have a difficulty to adjust to school and preparing the place of the adaptation and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for the practical system to make an education system by figuring out the state of the inadaptable students and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s about the support for the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by interviewing 61 teachers who are taking charge of the students with a difficulty to adjust to school, we could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s about the types of the problems of the students who have a difficulty to adjust to school, all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said that the students have the biggest problems in their home environment and then they have recognized that the second biggest problems are in their school work, sociality, misconduct and behavior. Second, in the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a difficulty to a adjust to school, there wasn't any evidence of the meaningful difference, but viewing the matter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inadaptable students, teachers have recognized that the inadaptable behavior of the abused students was the most serious and then the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misconduct, and the behavior of the students who had LD/ADHD was the least serious. Third, there wasn't any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difficulty of the teachers to guide the inadaptable students. But viewing it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students whom teachers are taking charge of , teachers have recognized that they have the biggest difficulty in teaching the students with misconduct and then the students who had LD/ADHD, the last was the abused students. Fourth, in teachers' demands for the support of the inadaptable students in school, there was a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work place. Viewing the teachers' demands according to sex, work experience, the types of the work place, women's demands were higher than the men's and the longer they worked, the higher they demanded. And the demands for the support of the teachers who are working in special class were the highest, and then an alternative school, the last was a private organ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부적응 학생의 부적응 실태 및 지원에 관한 교사의 인식
- 발달지체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 트레드밀 운동이 뇌성마비학생들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아동과 어머니 특성에 따른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 행동
-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연구
- 메타분석을 이용한 특수교육 요구 아동의 음운중심 읽기지도와 의미중심 읽기지도 연구 비교
-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효과적 교수
- 소조활동이 중복,지체부자유 학생의 소근육 운동 기능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 국제결혼가정아동의 언어 능력과 지식기반, 처리기반에 대한 차이 비교
-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육 교사 자격기준 개선 방안
-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직전교육 방향 탐색
- 시지각 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 학령기 경계선지능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
- 현장교육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불안, 우울, 그리고 학교적응 간의 관계
- 장애 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유아 어머니들의 인식
- 동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이야기 구성능력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아동 상담을 의뢰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특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