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조활동이 중복,지체부자유 학생의 소근육 운동 기능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Modeling Activity on the Fine Moter Skills and Attention Concentr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순영 정은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4호, 249~2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소조활동이 중복․지체부자유학생의 소근육 운동 기능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총 2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KISE 발달척도로 소근육 운동 기능 발달 영역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주의집중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기별로 각 학생의 주의집중 시간을 지속시간 기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소조활동은 중복․지체부자유학생의 정교성, 지각운동, 쓰기능력과 같은 소근육운동 기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주의집중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조활동은 중복․지체부자유 학생의 소근육 운동 기능과 주의집중 향상에 효과적인 활동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the molding acitivity influences to the fine motor and attention concentr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test children were diagnosed as physical disabilities by the medical specialist. And Korean ADHD diagnostic Scale shows that they are higher incident level than average value. They also have Intelligence Quotient below 50 and this 3 students are going to the middleschool for crippled children. The test for this research was performed 2 times per week (total 20 times) by using working practice time in school. And the researcher had a help from 1 special teacher, the one program is based on 40 minutes. In this research, KISE guideline by “Before and After inspection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olding activity to the fine motor of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I observed directly by using continuous time recording method during performing this progra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olding activity to the fine motor of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molding activity had influenced good effect on the fine motor of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Even though the effect for each child was different. but it was known that 3 children had some changes in 3 areas such as ”Accuracy, Consciousness, Writing skills. Second, the molding activity had influenced also good effect to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s a result of recoding for attention concentration time per each test, they could continued to concentrate their attention for average 1 minute at the beginning of test. But they could continued for max. 7~8 minutes at the end of test and average 4~5 minutes. Therefore, this test was shown that this molding program had good effect to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Final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 us that this kind of molding activity program has a good effect to the fine motor and concentration of atten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부적응 학생의 부적응 실태 및 지원에 관한 교사의 인식
- 발달지체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 트레드밀 운동이 뇌성마비학생들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아동과 어머니 특성에 따른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 행동
-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연구
- 메타분석을 이용한 특수교육 요구 아동의 음운중심 읽기지도와 의미중심 읽기지도 연구 비교
-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효과적 교수
- 소조활동이 중복,지체부자유 학생의 소근육 운동 기능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 국제결혼가정아동의 언어 능력과 지식기반, 처리기반에 대한 차이 비교
-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육 교사 자격기준 개선 방안
-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직전교육 방향 탐색
- 시지각 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 학령기 경계선지능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
- 현장교육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불안, 우울, 그리고 학교적응 간의 관계
- 장애 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유아 어머니들의 인식
- 동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이야기 구성능력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아동 상담을 의뢰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특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