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직전교육 방향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Searching for effective directions on pre-service education of special educators for inclusiv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유장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4호, 337~3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특수학급에서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특수교사의 직전교육에서 반드시 강조되어야 할 영역을 파악하여 예비 특수교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 직전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심층 면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 직전교육에서 협력방법 및 기술이 중요한 영역으로 언급되었으며, 둘째, 협력교수의 이론적 지식과 실행 방법, 셋째 수업설계 및 교과 지도, 넷째, 교수적 수정 및 개별화교육계획을 위한 일반교육과정의 지식, 다섯째, 교수계획을 위한 진단 및 평가 능력 여섯째, 일반학교(특수학급)에서의 교육실습, 마지막으로 인적자원 관리 능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make a search for effective directions on the course of special pre-educators, including areas which should be emphasized on pre-education.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9 special educators who have had lots of field experiences on the inclusiv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Results of this study show as follows. First, It is very important for pre-educators to know how to cooperate with other teachers and how to acquire skills related to cooperation. Second, theoretical knowledge and executional methods of co-teaching. Third, concrete planning of instruction and instructive behavior method.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lots of knowledge abou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for efficient IEP and substantial teaching-modification. Fifth, capabilities to evaluate and diagnosis disabilities in order to plan effective teaching model. Sixth, It is necessary to have opportunities of teaching practice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pecial class). Finally,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be endowed with capabilities to superintend persons related to the inclusive educa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부적응 학생의 부적응 실태 및 지원에 관한 교사의 인식
- 발달지체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 트레드밀 운동이 뇌성마비학생들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아동과 어머니 특성에 따른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 행동
-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연구
- 메타분석을 이용한 특수교육 요구 아동의 음운중심 읽기지도와 의미중심 읽기지도 연구 비교
-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효과적 교수
- 소조활동이 중복,지체부자유 학생의 소근육 운동 기능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 국제결혼가정아동의 언어 능력과 지식기반, 처리기반에 대한 차이 비교
-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육 교사 자격기준 개선 방안
-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직전교육 방향 탐색
- 시지각 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 학령기 경계선지능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
- 현장교육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불안, 우울, 그리고 학교적응 간의 관계
- 장애 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유아 어머니들의 인식
- 동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이야기 구성능력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아동 상담을 의뢰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특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