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결혼가정아동의 언어 능력과 지식기반, 처리기반에 대한 차이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Language ability and knowledge and processing ability in children raised in crosscultural environment compared to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원경 안성우 서유경 신영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4호, 211~23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1, 2, 3학년에 재학중인 만 7, 8세 국제결혼가정아동, 단순언어장애아동, 일반아동들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고, 아동들의 언어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지식기반과 처리기반으로 나누어 각 집단간 능력을 비교해 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집단별로 각각 12명씩이며,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언어문제해결력 검사, 지식기반을 평가하기 위하여 K-ABC의 습득도 검사를 그리고 처리기반을 평가하기 위하여 읽기폭 검사, 사각형 매트릭스 검사, 숫자 따라하기 검사를 사용하였다.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언어 능력, 지식기반, 처리기반의 모든 평가에서 일반아동이 가장 높은 수행을 보였고, 다음으로 국제결혼가정아동, 단순언어장애아동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처리기반의 하위 검사로 사용한 사각형 매트릭스 검사에서는 세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결혼가정아동의 언어 능력은 그들의 문화적 특성이나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를 처리하는 처리기반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처리기반 가운데에서도 언어적 자극이나 언어적 요소가 배제되지 않는 과제에 있어 더욱 어려움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언어중재를 할 때에는 아동들의 지식기반 확장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언어를 처리하는 작업기억과 같은 처리기반에 대하여도 효과적인 중재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language ability and compare knowledge-base and processing-base which effect language ability, each groups children raised in crosscultural environmen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7-8 year-old children raised in crosscultural environment childre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We used language problem solution ability test to evaluate language ability and used K-ABC achievement scale test to compare knowledge-base and used reading span test, square matrix test, and digit span test to compare processing-base. In conclusion, normal children outperformed children raised in crosscultural environment children an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hile children raised in crosscultural environment children performed better than children with specific children on each test including reading span test, square matrix test, digit span test, K-ABC achievement scale, and language problem solution ability tes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부적응 학생의 부적응 실태 및 지원에 관한 교사의 인식
- 발달지체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 트레드밀 운동이 뇌성마비학생들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아동과 어머니 특성에 따른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 행동
-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연구
- 메타분석을 이용한 특수교육 요구 아동의 음운중심 읽기지도와 의미중심 읽기지도 연구 비교
-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효과적 교수
- 소조활동이 중복,지체부자유 학생의 소근육 운동 기능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 국제결혼가정아동의 언어 능력과 지식기반, 처리기반에 대한 차이 비교
-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육 교사 자격기준 개선 방안
-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직전교육 방향 탐색
- 시지각 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 학령기 경계선지능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
- 현장교육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불안, 우울, 그리고 학교적응 간의 관계
- 장애 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유아 어머니들의 인식
- 동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이야기 구성능력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아동 상담을 의뢰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특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