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in kindergarten education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경숙 공진희 이민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4호, 311~3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유아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의 관점을 통해 다문화 가정유아들의 부모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과 유치원 교육 간의 연계 형태와 정도는 어떠한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6명의 교사를 면담하였으며 면담내용에는 10명의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경우 대부분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에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어머니들의 생활이 소극적이고 폐쇄적인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자녀의 정기적 유치원 활동에는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 아버지의 연령과 생활습관, 어머니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한계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다문화 유아의 가정과 연계하여 교육활동을 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었다. 셋째, 농촌지역이나 도시지역의 저소득층 다문화 가정 유아를 가르치고 있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다문화 가정 유아가 최적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가정에 대해 경제적 지원과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kindergarten education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ix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ir class were interviewed and talked about their experience with the multi-cultural families of the children. The study found followings. Fist, the children's mothers who came form other countries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the Korean and were shy and diffident with people. However, they presented in kindergarten activities in which teachers asked the parents to participated. Second, the fathers of the young children were old age or had inappropriate drinking habit or use violence in home. Therefore it is hard to say that their homes were caring environments for young children. Third,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to interact with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liver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needs efficient relationship with the families. Forth, the teachers suggested to support economical assistance for the multi-cultual families and educational assistance for the mothers from other countries so that they could provide appropriate caring environments for their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부적응 학생의 부적응 실태 및 지원에 관한 교사의 인식
- 발달지체유아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 트레드밀 운동이 뇌성마비학생들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아동과 어머니 특성에 따른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 행동
-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연구
- 메타분석을 이용한 특수교육 요구 아동의 음운중심 읽기지도와 의미중심 읽기지도 연구 비교
-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효과적 교수
- 소조활동이 중복,지체부자유 학생의 소근육 운동 기능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 국제결혼가정아동의 언어 능력과 지식기반, 처리기반에 대한 차이 비교
-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 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육 교사 자격기준 개선 방안
-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직전교육 방향 탐색
- 시지각 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 학령기 경계선지능 아동의 언어특성 연구
- 현장교육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불안, 우울, 그리고 학교적응 간의 관계
- 장애 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유아 어머니들의 인식
- 동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이야기 구성능력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아동 상담을 의뢰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특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