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트레드밀 운동이 뇌성마비학생들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Training on Isokinetic Muscle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in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강순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4호, 85~10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트레드밀 운동이 뇌성마비 학생들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10-22세의 뇌성마비 여학생 9명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운동을 각 대상자들이 원하는 속도에서 12주 동안 주당 3회, 1회기당 30분을 실시하였다. 훈련 전후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구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30°/sec에서 경도측 및 중도측 슬관절 굴곡근의 구심성 최대 토크, 경도측 및 중도측 슬관절 신전근의 구심성 최대 토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60°/sec에서 경도측 및 중도측 슬관절 굴곡근의 구심성 최대 토크, 경도측 및 중도측 슬관절 신전근의 구심성 최대 토크가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제지방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체지방량과 체지방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체중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트레드밀 운동이 뇌성마비학생들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구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training on isokinetic muscle strength in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consisted of 9 female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between the ages of 10 to 22. The subjects performed treadmill aerobic exercise training with 0% grade by free speed with three times a week for 30 minutes a session and 12 weeks. The variables of isokinetic muscle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were examined at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by the same examiner and with the measurement manner. Wilcoxon signed test was used to assess changes in variables of isokinetic muscle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ings. 1) After training, concentric peak torque of the least affected knee flexors(p<.01) and the most affected knee flexors (p<.01) and concentric peak torque of the least affected knee extensors(p<.01) and the most affected knee extensors(p<.01) at 30°/sec significantly increased. 2) After training, concentric peak torque of the least affected knee flexors(p<.05) and the most affected knee flexors(p<.01) and concentric peak torque of the least affected knee extensors(p<.05) and the most affected knee extensors(p<.01) at 60°/sec significantly increased. 3) After training, % body fat(p<.05) and fat-mass(p<.05) significantly decreased, and fat-free mass(p<.05)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body weight(p>.05) decreased but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dmill exercise training improves isokinetic muscle strength and changes body composition in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순희. (2007).트레드밀 운동이 뇌성마비학생들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9 (4), 85-101

MLA

강순희. "트레드밀 운동이 뇌성마비학생들의 등속성 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9.4(2007): 85-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