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G고등학교 농학생의 교육수화통역 지원 실태조사 및 요구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for a Educ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of Deaf Students at G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조영이 윤병천 민은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3호, 237~25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화통역을 지원하는 국내 G고등학교의 교육수화통역 지원 실태를 파악하기위해 농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질적인 연구를 하였다. 교육수화통역 지원 실태 파악을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농학생의 균등한 교육권 보장을 위한 교육수화통역 지원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를 위하여 G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사전협조와 양해를 얻어 연구참여자 13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G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수업과 학교행사, 단체 활동 등에서 수화통역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둘째, 농학생들의 만족도 및 요구조사에서는 수화통역 지원에 만족감을 보이면서도 추가적으로 수화통역을 보조하는 수단으로써 문자통역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초․중․고등학교에서 농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교육수화통역 지원 체계의 확대가 정책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며 교육 수화통역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도 과목별 전문 수화통역사 양성체계가 더욱 세분화 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educational conditions of G High School, a domestic high school which provides a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and encourage and promote demand for and expansion of more qualitative services by looking at deaf students' cas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detailed purposes. The first purpose is to examine actual conditions of the support for a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for deaf students. The second purpose is to seek for measures to expand the support for an educ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G High School's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13 deaf students attending the school were interviewed with an unstructured questionnaire. Then for the two months of January through February 2011, the 13 subject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during 6 different sessions. This study'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support for a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was performed in every place directly related to classes, with its scope encompassing lectures, school events, and group activities. Second, measures to expand the support for a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are as follows. In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education, support for a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for both deaf schools and ordinary schools should be legally realized. In addition, a character interpretation service should accompany a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as its supportive measure. Character interpretation is not an alternative to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but plays a role as a supportive measure to help deaf students' supplemental learning. Therefore, I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 system to support a sign interpretation service should be made through policies. Education for deaf students should be normalized by educ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for those students. Second, professional sign language interpreters for each subject should be nurtured.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should provide more specialized directions for th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urvey of Educ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Utilizing IPTV in Special Education in Korea
- 노래 삽입 동화활동이 초등 저학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다중표상을 활용한 인지·메타인지전략이 지적장애학생들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과 오류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청각장애학생의 전환관련 요인 및 특성 분석
-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에 수록된 표의 점역형식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문해성 분석
- 어머니가 바라본 중도 장애유아와 비장애형제유아의 상호작용
-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과 진단․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
- 장애 유아 교육과정 편성 및 실행에 대한 단설 유치원 특수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Stimulus-Stimulus Pairing Procedure on Book Observing, Vocal Stereotypy,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ree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특수교사의 공감능력에 따른 교사-학생 갈등관리 방식과 교사효능감
- 한․일 다문화 가정 장애자녀의 양육 및 교육에 대한 일본인 어머니들의 인식 및 지원요구
- 장애아동 아버지와 어머니의 요구
- 중·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좋은 수업의 수행필요성과 수행역량 분석
- 장애대학생 대학생활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연구
- 쓰기 저성취 아동의 텍스트 응집성 분석
-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보조공학 연구 분석
- 초등학생의 ADHD증상에 따른 오프라인, 온라인 학교폭력 피해수준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심축 반응 훈련 중재의 메타분석
- 국내 G고등학교 농학생의 교육수화통역 지원 실태조사 및 요구분석
- 전환중심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특수교사의 전환교육지식과 교수수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 중등교사의 통합학급 수업에서의 교수적 수정 실천정도 분석
- 교육과정 수정 연구 동향 및 실험 연구 분석
- 학령기 이후 지적장애인의 진로 선택에 따른 지원요구
- 장애아동 치료지원서비스 이용 실태 및 부모의 인식
- 수학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읽기능력과 작업기억 특성 비교
- 액션러닝을 활용한 장애아 통합교육 수업이 예비특수교사의 문제해결 능력과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학생 통합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 장애위험 유아를 위한 통합 유치원 교사들의 의뢰전 중재 실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