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활동매트릭스를 활용한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능력 및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 Using Activity Matrix on the Gross Motor Ability and Accomplishment of IEP Goal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표윤희 강혜경 이창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37~5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활동매트릭스를 활용한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능력(대근육운동기능, 기능적 이동능력)과 개별화교육목표(기능적 활동 수행의 기초가 되는 운동 및 일상생활능력 관련) 성취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지체장애 학생 16명과 특수교사 11명, 물리치료 전공자 2명, 특수교육실무원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대근육운동 기능과 기능적 이동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운동 및 일상생활 능력 관련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친 영향은 목표성취 척도를 활용한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대근육운동 기능 수준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험집단 내의 사전-사후 검사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실험집단 학생의 대근육운동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기능적 이동능력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의 학생이 통제집단보다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 총 8명의 학생 중 6명(75%)의 학생이 만족스러운 개별화교육목표의 성취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에게 의미 있는 교육적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s using activity matrix on the motor ability(gross motor function, the functional mobility capability) and the motor-related individualized education goal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ixtee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eleven special educators, two physical therapists, and ten para-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signed to one of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tervention using activity matrix was implemented for 4 months.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n the functional mobility cap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nd that motor-related IEP goals of experimental group were accomplished.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n the gross motor fun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inally,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collaborative team approach practic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과 학교환경변인의 영향
- 활동매트릭스를 활용한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능력 및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중증 자폐성장애 학생의 자해 행동, 자리이탈 행동, 자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의 동음이의어 이해 특성 연구
-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Korean Cued Speech 3.0)의 구조적 타당성
-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 ADHD 아동의 사회성기술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벤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연역추론 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 위험아동,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아동, 일반아동 간의 행동적 특성 비교
-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분석
- ADHD 남아의 교사지지와 또래지지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