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Korean Cued Speech 3.0)의 구조적 타당성
이용수 0
- 영문명
- Structural Validity of Korean Cued Speech 3.0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서창원 김지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61~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개발된 한국어 큐드 스피치(Korean Cued Speech ver 3.0)의 타당성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에 개발된 한국어 큐드 스피치의 3가지 버전을 상호 비교하여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이 이전에 개발된 버전과의 구별되는 특징은 무엇이며 한국어 큐드 스피치에서의 프로네이티드(내전;pronated)가 한국어 큐드 스피치 구현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수행되었다.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의 특성과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 개발에 참여한 연구진과 외부 전문가 1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 면담, 그리고 큐드 스피치 학습자 2인의 단어구현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비교 그룹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큐드 스피치 ver. 2.0과 ver. 3.0에 대한 구현속도와 정확도를 비교해보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결과, 한국어 큐드 스피치 개발에 반영된 특성은 첫째, 영어의 반자음 /w/+와 /y/+,이 한국어에서 반모음으로 존재하는 특성과 규칙, 불규칙적 음운변동현상, 외래어의 사용과 영어 큐드 스피치와의 호환성이 있었다. 둘째,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의 특성은 1. 고빈도 음소의 배치와 큐엠(cuem)의 시각적 대조, 2. /ㅏ/와 /ㅗ/의 배치와 /ㅁ/, /ㅂ/, /ㄷ/의 배치, 3. 이중모음과 /ㅡ/와 배치 4. 음운변동현상과 경음화 현상을 위한 플릭(떨기, flick)과 내전(pronated)으로 적용되었다는 것이다. 단어구현을 통한 실험에서는 종성과 초성에서 동일한 음소가 중복되는 단어 군에서 프로네이티드가 채택된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은 더 빠른 구현 속도와 가독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은 2.0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큐드 스피치 3.0에서 구현되는 프로네이티드가 한국어의 연음을 큐드 스피치로 표현하는데 적합한 방법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latest Korean Cued Speech (Korean Cued Speech ver. 3.0). The study was to understand wha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Cued Speech ver. 3.0 were mutually compare to the prior versions and how a pronated in Korean Cued Speech affect to the speed of Cued Speech implementation. To verify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validity of Korean Cued Speech ver. 3.0, the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with a group of the researchers participated in developing Korean Cued Speech ver. 3.0 and an external expert, and word representation experiment of two Cued Speech learners.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to compare the speed of implementation and accuracy comparing for Korean Cued Speech ver. 2.0 and ver. 3.0 in different targeted comparison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distinct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Korean Cued Speech development were firstly, English semi consonant /w/+ /y/+ used as semi-vowel in Korean, regular and irregular phonological process phenomenon, usage of foreign words, and compatibility of English Cued Speech. Secondly,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Cued Speech ver. 3.0 were followings. 1. Visual contrast of the placement of high-frequency phoneme and cuem. 2. Arrangement of /ㅏ/ and /ㅗ/, and /ㅁ/, /ㅂ/, /ㄷ/. 3. A diphthong and the /ㅡ/ placement. 4. Flick and pronated were applied for phonological process and fortis phenomenon. Korean Cued speech ver. 3.0 had faster implementation speed and readability in the word representation experiment with word group of same phoneme repeat in final consonant and the initial consonant. The study could conclude pronated embodies in Cued Speech 3.0 was more suitable method to express Korean prolonged sound in Cued Speech compare to the Korean Cued Speech 2.0.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과 학교환경변인의 영향
- 활동매트릭스를 활용한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능력 및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중증 자폐성장애 학생의 자해 행동, 자리이탈 행동, 자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의 동음이의어 이해 특성 연구
-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Korean Cued Speech 3.0)의 구조적 타당성
-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 ADHD 아동의 사회성기술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벤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연역추론 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 위험아동,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아동, 일반아동 간의 행동적 특성 비교
-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분석
- ADHD 남아의 교사지지와 또래지지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