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toward Job Stress in the Disabled Child Car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강대옥 강은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161~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장애아담당 보육교사 83명을 대상으로 장애아보육직무에서의 문제와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장애아보육문제 및 스트레스 검사도구에 응답한 자료를 PASW(Ver. 18.0)를 활용하여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장애아보육문제에 대한 인식은 경력 6년 이상이 1-5년에 비해, 법인과 민간이 국공립에 비해, 장애아전문이 장애아통합에 비해 더 높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장애아보육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은 법인과 민간이 국공립에 비해, 장애아전문이 장애아통합에 비해 더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장애아와의 상호작용 및 지도에서는 문제에 대한 인식보다 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원장과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처우 및 복지에서는 문제에 대한 인식보다 스트레스가 높았다. 넷째, 개방문항에서 보육교사들은 서류관리, 아동지도, 프로그램 및 교구개발, 부모, 원장, 동료 등과의 관계, 처우 및 복지, 정보수집 및 전문성 개발 등의 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업무의 축소 및 간소화,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연수 기회 확대, 원장 및 부모와의 관계 개선 및 협조 등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recognition toward job stress in the disabled child care, targeting the 83 child-care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hild-care centers in Jeju. The respond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ASW(Ver. 18.0) and content analysis in open-ended ques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ward the problems in the disabled child care, recognition of teachers who had 6-years or more career appeared to be higher than teachers who had 1-5 years career, recognition of teachers who were in judical and private centers than national and public centers, and recognition of teachers who did special child-care than inclusive child-care. Second, toward the stress in the disabled child care, recognition of teachers who were in judical and private centers appeared to be higher than national and publiccenters, and recognition of teachers who did special child-care than inclusive child-care. Third, in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eachers’ recognition between the problems and stress in the disabled child ca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s of relation to parents, interaction and teaching, relation to principal, and treatment and welfare. Fourth, child-care teachers were stressed in the area of document management, child teaching, development of program and teaching tools, relationship to parents, principal, and colleague, treatment and welfare, and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fessionality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o remove or reduce the teachers’ stress, it is important to cut down their unnecessary job, to give teachers more opportunity to study and train, and to improve relation to principal and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과 학교환경변인의 영향
- 활동매트릭스를 활용한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능력 및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중증 자폐성장애 학생의 자해 행동, 자리이탈 행동, 자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의 동음이의어 이해 특성 연구
-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Korean Cued Speech 3.0)의 구조적 타당성
-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 ADHD 아동의 사회성기술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벤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연역추론 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 위험아동,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아동, 일반아동 간의 행동적 특성 비교
-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분석
- ADHD 남아의 교사지지와 또래지지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