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Variables in Causal Relations with Reading Outcom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유정 고혜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4호, 187~21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교사, 수업 및 아동 관련 특성들 간의 관계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검증을 적용하여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미국 초등학교의 교사들과 학교 단위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부모(부모참여정도, 부모교육수준), 교사(수업그룹형태, 교수학습시간, 교사 자기효능감, 교육과정 수정)들의 잠재변인들과 장애학생들의 읽기능력 변인들을 구조방정식에 투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의 교육수준은 부모의 참여정도에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부모의 참여정도는 학습장애아동의 수업참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자기효능감은 학습장애아동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수정과 수업그룹형태 제공, 읽기 교수학습 시간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습장애아동의 수준에 따른 수업그룹형태 제공 여부는 단어인지 능력 향상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학습장애아동의 수업참여도는 읽기이해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특수교육 현장 지원 및 특수교사 지원을 위한 향후 연구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owerful evidence demonstrating parents’ and teachers’ impact on students’ reading achievement has led to an intensive focus on identifying levers for improving reading outcom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revious research has begun to indicate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onal quality and parent invovlement and educational level may be one such lever, even after controlling for student demographics and other school related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 and teacher-related variables an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s. Data from the Special Education Elementary Longitudinal Study (SEELS)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on causal relationships among latent and observed parent, teacher, and student variables. Results revealed that parents’ educational level positively influenced on parent involvement,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Teachers’ self-efficacy and instructional quality,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students’ reading outcomes. Instructional grouping based on the students’ academic abilities highly influenced on word recognition; whereas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on reading comprehension. Implications to special education field in Korea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과 학교환경변인의 영향
- 활동매트릭스를 활용한 협력적 팀 접근 중재가 지체장애 학생의 운동능력 및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중증 자폐성장애 학생의 자해 행동, 자리이탈 행동, 자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성취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정 아동의 동음이의어 이해 특성 연구
- 한국어 큐드 스피치 3.0(Korean Cued Speech 3.0)의 구조적 타당성
-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 ADHD 아동의 사회성기술 관련 연구동향 분석
- 벤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연역추론 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장애 위험아동,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 학습장애와 정서·행동장애 공존 위험아동, 일반아동 간의 행동적 특성 비교
-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분석
- ADHD 남아의 교사지지와 또래지지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